SKT, 사물인터넷 대비 '가상화 LTE교환기' 상용화

가상화 SW로 데이터 트래픽 대응

방송/통신입력 :2015/08/04 09:52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은 IoT(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가상화 LTE 교환기(vEPC)’를 상용화했다고 4일 밝혔다.

vEPC의 장점은 기존 LTE 교환장비 구축에 수 개월 정도가 소요됐던 것과 달리 몇 시간 내에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신규장비 구축 없이 추가 서버 할당 만으로 용량 증설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SK텔레콤은 신규 통신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예측하기 어려운 트래픽 증가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IoT 서비스용으로 우선 상용화한 만큼 IoT에 따른 데이터 트래픽 증가에도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vEPC와 함께 가상화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국제 표준 시스템인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도 상용 서비스에 도입했다.

관련기사

오케스트레이터는 가상화된 네트워크 관리 및 자원 할당 등을 위한 전용 시스템이다. 서로 다른 업체들이 개발하는 가상화 장비들로 안정적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SK텔레콤은 vEPC와 오케스트레이터 상용화를 통해 네트워크의 구축과 관리, 운용 수준을 한 단계 진화시켰다”며 “앞으로도 차세대 네트워크 진화를 위한 핵심 기술들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