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한국 스마트폰…돌파구는 있나

애플과 中 업체 사이에서…'샌드위치론' 현실화

홈&모바일입력 :2015/07/30 16:07    수정: 2015/07/30 17:23

정현정 기자

한국 스마트폰 산업의 샌드위치 위기론이 현실화됐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분기 전략 스마트폰 출시에도 불구하고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애플이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영업이익의 92%를 독식하고 샤오미와 화웨이가 스마트폰 출하량을 30%씩 늘리는 사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매출 외형과 판매량을 크게 늘리지 못한 데다 수익성도 크게 악화되면서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삼성전자가 30일 발표한 2분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지난 분기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T·모바일(IM) 사업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6조600억원과 2조7천600억원이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분기와 비교해 1%와 0.7% 증가하는데 그쳤고 영업이익은 증권가 전망치였던 3조원대 문턱에도 가지 못했다.

하루 전날에는 LG전자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모바일커뮤니케이션(MC) 사업본부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99.8%가 급감한 영업이익 2억원의 실적을 발표하면서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같은 기간 매출액이 3조6천4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하고 스마트폰 판매량도 전년 대비 3% 증가했음에도 실적은 손익분기점(BEP) 수준에 그쳤다.

양사는 신흥국 통화 약세 등 환율 영향과 함께 경쟁 심화와 신제품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를 2분기 수익성 악화의 원인으로 꼽았다.

박진영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상무는 이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2분기 스마트폰 시장 수요가 비수기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한데다 구형 중저가 모델 판매가 감소하면서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역성장했다”면서 “갤럭시S6 엣지 모델에 대한 예상보다 높은 시장 수요로 공급 차질이 발생하면서 판매가 기대 수준 만큼 이뤄지지 않았고 전략 모델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전날 열린 LG전자 실적설명회에서 정도현 최고재무책임자(CFO) 사장은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판가 하락에 러시아와 브라질 등 신흥 시장의 통화 약세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면서 “여기에 지난해까지 큰 경쟁력이 있었던 3G 스마트폰 수요가 많이 감소한 것과 G4 출시와 함께 마케팅 비용을 많이 집행한 것도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6와 G4를 소개하는 신종균 삼성전자 IM부문 사장(왼쪽)과 조준호 LG전자 MC사업본부장 사장 (사진=삼성전자,LG전자)

지난해 갤럭시S5 부진 이후 삼성전자가 와신상담 준비한 신작 갤럭시S6가 기를 펴지 못한 데는 상대적으로 애플 아이폰6의 위력이 컸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해 전세계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킨 아이폰6가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를 상당부분 잠식하면서 그만큼 갤럭시S6는 운신의 폭이 좁아졌다. LG전자의 경우 아이폰6 영향에다 삼성전자 갤럭시S6 시리즈 공세까지 겹치면서 마케팅 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해 수익을 아예 내지 못했다.

지난 분기 스마트폰 시장 수요 둔화와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경쟁사들의 성적은 나쁘지 않았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포화에 따라 경쟁 양상이 제로섬 게임이 되어가고 있는 셈이다.

애플은 지난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32.5% 증가한 496억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전문가들의 전망치를 뛰어넘었으며 순이익 역시 106억8천만달러(주당순이익 1.85달러)로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상회했다. 지난 분기 아이폰 판매대수도 4천74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35%가 증가했다. 지난 1분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이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영업이익의 92%를 독식했다는 시장조사업체 캐너코드제누이티의 조사 결과도 있었다.

중국 제조사들의 약진도 두드러진다. 화웨이의 휴대폰 사업부문은 하이엔드 스마트폰 시장집중 전략이 성공을 거두며 출하량과 평균판매단가(ASP)가 모두 증가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대비 87% 증가한 72억3천만달러(약 8조4천억원)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스마트폰 출하량은 4천820만대로 전년 대비 39%의 성장률을 보였다. 또 다른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인 샤오미의 올해 상반기 휴대폰 판매량은 3천470만대로 지난해 대비 33% 증가했다.

애플과 중국 업체들의 협공에 국내 제조사들의 시장점유율은 줄어들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2분기 7천320만대 스마트폰을 판매해 21.7% 점유율로 1위를 지켰지만 2.3%포인트 역성장하며 상위 5개 업체 중 유일하게 출하량이 줄었다. LG전자는 5위권 기업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반면 애플은 4천750만대 아이폰을 판매해 14.1%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출하량은 34.9%p, 시장점유율은 2.4%p 증가했다. 이어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인 화웨이(2천990만대, 8.9%), 샤오미(1천790만대, 5.3%), 레노버(1천620만대, 4.8%)로 이들 3개 업체의 시장점유율 합계는 19%로 전년 동기 대비 2.5%p 증가한 상태다.

상위 5개 업체의 2분기 스마트폰 출하량 (자료=IDC)

이승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제품인 갤럭시S 시리즈가 아이폰6에 완전히 밀렸고, 중저가 그룹에서는 중국 업체들 틈바구니에서 '원오브뎀(One of Them)'이 되어가고 있다”면서 “브랜드 프리미엄도 빠르게 떨어지고 있으며 스펙과 가격만 놓고 비교하면, 갤럭시 중저가 라인업은 중국 제품들에 비해 경쟁력이 별로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뚜렷한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시장 수요가 회복될 조짐이 크게 보이지 않는데다가 애플 역시 하반기 아이폰6s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어 상황이 녹록치 않다. 중국 제조사들의 공격적인 신제품 출시 역시 이어지고 있다.

지난 분기 실적발표와 함께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은 전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보이지만 성장세가 예년에 비해 둔화될 것”이라고 하반기 시장을 전망했고 LG전자 역시 “경쟁사의 프리미엄 신제품 출시 및 보급형 시장에서 가격 경쟁으로 전 영역에서 시장점유율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엣지 디스플레이 공급부족 문제를 해소한 만큼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 가격을 낮춰서 판매량 확대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또 예년보다 보름 이상 앞당겨 ‘갤럭시노트5’와 ‘갤럭시S6 엣지 플러스’를 동시 출시해 대화면 스마트폰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보급형 라인업 간소화와 마케팅 효율 제고 등 수익성 개선 노력도 지속한다.

관련기사

LG전자도 글로벌 출시가 완료된 G4와 함께 ‘G4 비트’, ‘G4 스타일러스’ 등 G4 패밀리 라인업 판매확대와 신규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를 통해 매출과 수익성을 지속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또 하반기 G시리즈를 뛰어넘는 슈퍼 프리미엄폰 출시도 예고한 상황이다.

증권가에서는 3분기 마케팅 비용 감소와 출하량 증가에 따라 수익성 개선을 전망하면서도 그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조진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중화권 경쟁사의 가파른 점유율 상승으로 중저가폰 시장 판가가 빠르게 하락할 것이고, 삼성전자 갤럭시S6 판매 정체로 하반기 안드로이드 고가폰 판가하락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LG전자 휴대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치도 낮아진 상태”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