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인터넷뱅킹과 뭐가 다르지?

컴퓨팅입력 :2015/06/18 16:27    수정: 2015/06/18 16:46

손경호 기자

금융위원회는 연내 은산분리 규정을 완화하는 법개정을 추진하고, 최소 자본금 500억원 이상을 보유한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1개~2개 인터넷전문은행을 인가한다는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인터넷뱅킹이 이미 대중화됐는데, 별도로 인터넷전문은행이 생긴다는 소식에 인터넷전문은행이 뭐지 하고 궁금해 하는 이들이 많다. 이미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이 활성화 돼 있는 국내 환경에서 "인터넷전문은행이 굳이 필요하냐?"는 얘기도 들린다.

그렇다면 지금 이 시점에서 인터넷전문은행이 필요한 이유는 뭘까.

정부는 가장 큰 이유로 정체된 금융산업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것을 꼽았다. 그동안 전통적인 금융산업이 IT를 활용하는데 그쳤다면 이제는 IT에 기반한 금융서비스의 존재감이 커지는 양상이다. 금융과 IT의 융합이라고 불리는 핀테크 스타트업들의 해외성공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

이들은 그동안 대출이나 증권거래 등에서 소외됐던 금융 소비자들을 위해 빅데이터에 기반해 신용도를 자체평가한 뒤 소액대출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증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들을 자동으로 분석해 투자하게 해주는 서비스 등까지 등장하고 있다. 최저 수수료로 개인 간 P2P 해외 송금 등도 틈새시장을 노린 서비스다.

이런 핀테크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한 근간을 이루는 것이 바로 인터넷전문은행이다. 대학생, 영세자영업자, 노년층 등까지 그동안 상대적으로 금융서비스 활용률이 저조했던 잠재소비자들에게 이전보다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은행계좌를 개설해주면 그만큼 이로인해 파생되는 핀테크 서비스들 역시 지금보다 활성화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18일 금융위 브리핑에서 도규상 금융서비스 국장은 "이전에도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시도가 있었으나 기존 시중은행과 같은 방식의 수익모델은 대부분 실패했다"며 "다른 방식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운영할 경우에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런 점에 비춰 인터넷전문은행은 기존 은행보다는 증권사, 보험사 등 은행업을 하지 못했던 금융사업자들과 국내 주요 포털, 이동통신사업자, 중소규모 ICT기업들의 연합 컨소시엄들이 IT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금융위에 따르면 해외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1995년 미국에서 최초 도입된 뒤 이 나라에서 20여개, 유럽에 30여개, 일본에서 8개 인터넷전문은행이 영업 중이다. 사업자들 역시 기존 은행권 외에 증권, 보험, 카드사 등 제2금융권의 자회사, 유통이나 자동차 제조기업, 은행과 이통사, 은행과 포털 등 합작하는 형태로 다양하다. 이들은 모두 모기업이나 계열사와 연계한 마케팅을 통해 틈새시장에서 기존 은행과 차별화된 영업방식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프랑스 헬로뱅크(Hello Bank)의 경우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 앱을 통해서 모든 은행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은행이 등장했으며, 중국 텐센트를 모기업으로 하는 위뱅크(WeBank)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해 고객 신용도를 평가해 그동안 낮은 신용도에 발묶여있던 금융소비자들에게도 대출을 허용토록 하고 있다. 전자상거래기업 계열사인 일본 라쿠텐뱅크(Rakuten Bank)는 아예 송금수수료를 없애고, 계열사의 물건을 구매할 때 현금포인트를 제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차별화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따로 오프라인 지점을 갖고 있지 않는 덕에 은행업무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24시간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