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5년전 초심으로 돌아갔다…왜?

아이폰과 닮은 듯 하며 하나를 덧붙이는 전략

일반입력 :2015/03/02 15:02    수정: 2015/03/02 15:21

이재운 기자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의 부진 탈출을 위해 ‘5년 전 카드’를 꺼내 들었다. 2010년, 애플 아이폰에 대항하는 첫 번째 갤럭시S를 내놓았던 그때처럼 말이다.

1일(현지시간) 삼성전자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5에 앞서 갤럭시S6와 갤럭시S 엣지를 공개하는 ‘언팩’ 행사를 열었다.

삼성전자는 특히 주력 제품인 갤럭시S6에 사활을 건 상태다. 전작인 갤럭시S5에 대한 혹평이 이어지며 지난해 3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4조6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하는 부진을 보였다. 여기에는 스마트폰을 만드는 무선사업부의 매출이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30% 가량 추락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갤럭시S5의 부진은 지금까지 급성장하던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의 미래에 먹구름이 끼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고성능(하이엔드) 스마트폰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에 달했다는 해석이 지배적인 가운데 중저가 시장에서는 중국 등 해외 업체들의 공세로 시장이 혼탁해져 있다.반면 아이폰5c를 제외하고는 중저가 시장에 대한 별다른 노력 없이 2위 자리를 고수하던 애플은 지난해 9월 아이폰6를 공개하면서 그 동안 외면해 온 ‘대화면 전략’을 전면 도입,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와 출하대수 기준 공동 1위(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 기준)를 기록하며 2010년 이전의 상황으로 시계바늘을 돌려 놓았다.

이같은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대안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현재 시장에서 가장 잘 나가는 경쟁사를 벤치마킹’하는 것, 또 하나는 ‘과거에 유사한 사례를 극복했던 방안’이다. 이 같은 상황은 삼성전자가 지난 2010년 애플 아이폰의 공세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던 상황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에 대한 해답도 5년 전의 그때에 있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5년 전 1위로 가는 초석이 됐던 결정의 ‘반복’

당시 삼성전자의 해법은 두 가지 사례 중 전자에서 찾았다. 당시 고성능 스마트폰 시장에서 유일하게 성공을 거두고 있던 업체는 바로 애플이었다. 일반적으로 선두 업체가 만드는 흐름에 어느 정도 편승하면서도 자신만의 색깔을 갖는 것이 초기 후발주자의 생존법이다.

관련기사

익명을 요구한 한 마케팅 전문가는 “애플이 성공하고 있던 상황에서 삼성이 애플을 벤치마킹 하는 것은 꽤 당연한 수순”이라며 “새로운 시장에서 두 번째로 출발하는 상황에서는 자연스러운 선택”이라고 설명했다.새로운 갤럭시S6를 본 소비자들의 반응은 ‘아이폰6 디자인과 꽤 닮았다’는 의견이 다수를 보이고 있다. 물론 삼성전자 관계자들은 겉으로는 이를 부인하겠지만, 기실 스마트폰의 제품 형태(Form Factor)가 비슷한 형태가 대부분임을 고려하면 틀린 말이라고 할 수도 없다.

삼성전자는 애플을 다시 뛰어넘기 위해 5년 전과 같은 선택을 했다. 갤럭시S 시리즈는 갤럭시노트 시리즈 보다 더 대중적이고, 판매량도 더 많은 제품이다. 과거의 카드를 다시 꺼낸 삼성의 결정이 다시금 옛 영광을 되찾는 묘수가 될 지 업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