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6 출시 일주일, 무엇을 남겼나?

아이폰 위력 실감 … 단통법 무력화시킨 '페이백' 대소동 촉발

일반입력 :2014/11/07 17:01

아이폰6가 국내에 출시된지 일주일이 지났다. 요란스런 아이폰 경품행사를 시작으로, 단숨에 단통법을 무력화시킨 '아이폰6 대란'에 이르면서 아이폰6는 국내 이동통신 시장에 큰 파장을 몰고왔다.

특히 단통법 시행 이후 '보조금 지갑'을 닫았던 국내 이동사들이 한밤에 60만원대의 장려금을 뿌려대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불러오면서 단통법 정국에 한바탕 회오리를 일게 했다.

■ 화면 커진 아이폰, 사전예약부터 달아올라

국내 이통시장은 아이폰6 출시 이전부터 한껏 달아올랐다. 애플의 음성LTE(VoLTE) 지원으로 LG유플러스까지 합세하면서 대대적인 마케팅 경쟁이 예고됐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달 24일 사전예약에 몰린 수만명의 충성 고객들이다. 1년에 단 한차례 선보이는 아이폰인 만큼 대기 수요가 한 번에 몰리는 특징이 있다. 사전예약 홈페이지는 접속이 어려운 수준에 달했다. 예약가입 시작 당시 SK텔레콤 T월드다이렉트에는 순간적으로 10만명이 몰렸고, KT는 30분 만에 5만 가입자를 모으는 돌풍을 일으켰다.

이같은 인기는 아이폰이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이유로 풀이된다. 그간 국내 시장에서 5인치 이상의 패블릿이 인기가 높았던 것과 달리 아이폰은 화면이 작다는 불평이 이어졌지만 5.5인치 아이폰6플러스가 수요에 적극 대응하게 된 것이다.

이통사 측은 정확한 수치를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초기 사전예약 당시 아이폰6플러스 수요가 더욱 높았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사전예약에선 아이폰6플러스의 배송이 늦어질 수 있다는 안내가 나오기도 했다.

■ 아이폰 겨냥 신규 프로모션 대거 등장

이동통신3사가 아이폰을 두고 전면 경쟁을 펼치게 된 만큼 특정 신규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도 쏟아졌다.

무엇보다 단통법 시행에 따라 단말기 지원금(보조금) 수준이 낮아졌다는 소비자 인식으로 기기 값 부담을 줄이려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아이폰을 처음 판매하는 LG유플러스가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채택하자 KT와 SK텔레콤도 이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새로 구입하는 단말기의 향후 중고값을 미리 계산해 처음 살 때 제하는 중고값 선보상 프로그램인 ‘제로클럽’을 선보인 것이다. 이를테면 단말기 출고가에서 공시된 지원금을 제하고 18개월 이후 반납한다는 조건으로 중고값을 제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초기 단말기 값 부담을 낮추겠다는 전략이다.

다소 복잡한 판매 방식임에도 KT는 ‘스펀지제로플랜’, SK텔레콤은 ‘프리클럽’ 등 유사 판매책을 잇따라 발표하고 나섰다.

SK텔레콤은 가입비 전면 폐지를 아이폰6 출시로 하루 앞당기기도 했다.

■ 3년 만에 주말 개통, 리베이트 증액으로 '페이백 대소동'

일주일간 사전예약 물량과 출시 당일 개통 물량을 고려해 3년여 만에 주말에도 전산 개통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됐다.

출시 첫날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에 아이폰을 포함해 신규 개통이 약 14만건에 달했다. 이후 주말에 들어서도 번호이동, 0101 신규 가입, 기기변경 등 6만건에 달하는 개통 작업이 이뤄졌다.

문제는 토요일인 1일 오후부터 불거졌다. 공시된 지원금과 유통망의 15% 추가 지원금 외에 더 이상 지급할 수 없는 보조금이 만들어진 것이다.

유통망 판매 수수료라고 불리는 이른바 리베이트가 시간 단위로 수십만원씩 늘어나면서, 개통 실적에 허덕이던 일부 판매점들이 이를 현찰로 지급하는 페이백에 활용한 것이다.

1일 밤 60만원이 넘는 리베이트가 책정되자 초기 실부담금 20만원 선에서 출시 하루가 지난 신제품이 판매됐다. 줄을 서서 휴대폰을 사는 진풍경이 벌어졌고, 위법 논란이 일자 예약취소 사태가 벌어졌다.

단통법 시행 3주차 LG전자 G3캣식스에 80만원이 넘는 리베이트가 책정됐을 때 벌어진 불법 보조금 지급 사례와 동일하다. 즉, 이통사들이 판매 경쟁에 우위를 점하기 위해 유통망의 페이백 지급을 조장했다는 거센 비난이 쏟아졌다. ■ 법 시행 한 달 만에 방통위 사실조사 돌입

법 시행 초기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킨 단통법은 시행 4주차에 들어서면서 어느 정도 시장에 안착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유통 상인이나 제조사 등은 위축된 시장을 우려했고 일부 소비자들은 신규 단말기 구입 부담이 높아졌다고 불만을 성토했지만, 저가 요금제 가입자도 지원금을 받거나 기계를 새로 사지 않아도 요금할인 등으로 보조금에 상응하는 통신비 할인 방법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아이폰 대란이 발생하면서 이같은 기조는 한순간에 무너졌다. 결국 최성준 방통위원장이 이례적으로 직원 대상 월례조회에서 엄정한 후속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기에 이르렀다.

관련기사

단통법에 따라 처벌 대상이 달라진 점도 초미의 관심사다. 그동안 이전 법에서는 이통사만 제재 대상이었지만 단통법에서는 제조사와 유통망까지 제재 대상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이통사 마케팅 담당 임원이 고발될지 여부에 업계 시선이 쏠리고 있다. 또 위반 행위 적발시 곧바로 과태료가 부과되는 유통망의 반발도 예상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