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플랫폼의 등장으로 정보를 생산하던 권력과 소비하던 대중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졌다.”
김상헌 네이버 대표가 27일 ITU 전권회의의 프리미어 포럼 중 하나인 ‘글로벌 리더스 포럼’에서 인터넷이 새로운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가진 가능성에 대해 이같이 말하고, 정보를 만들어내는 주체가 된 이용자를 인터넷이 가져온 가장 근본적인 변화로 꼽았다.
이어, 2002년 시작한 지식iN과 이듬해 나온 블로그와 카페 서비스를 사례로 언급하며, 네이버는 일찍부터 이용자들이 정보 생산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서비스에 집중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와 동시에 네이버는 전문 콘텐츠 영역에서 인터넷이 할 수 있는 역할에 관심을 가졌고 만화의 가능성에 주목했다고 언급했다.
글로벌 흥행에 성공한 영화의 30%가 만화를 원작으로 두고 있을 만큼 만화는 원천 콘텐츠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시장은 일본 만화 번역 출판이 주된 모델이었고 출판 만화의 쇠퇴와 함께 침체기를 겪고 있었던 시점이었다. 김 대표는 “이러한 만화 산업의 침체는 한국의 우수한 IT인프라와 두터운 만화팬 층이라는 독특한 국내 상황과 맞물리며 ‘웹툰’이라는 새로운 콘텐츠를 탄생시키는 배경이 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김 대표는 웹툰이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한 것에 기여한 네이버의 역할을 강조했다. 도전 만화 코너를 통해 웹툰 작가 지망생들이 인기 작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선순환 구조를 갖춘 웹툰 생태계가 조성됐고, PPS(Page Profit Share)라는 수익모델을 창출해 작가들에게 안정적인 창작환경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PPS는 웹툰 원고료 외에도 웹툰에 광고를 넣거나 파생 상품을 판매하는 등 다양한 수익 방법을 웹툰 작가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수익 모델이다. 도전 만화 활동 작가 수는 14만명이며 네이버 웹툰 작가의 최고 수입은 월 7천800만원에 이른다. 하루 평균 웹툰 이용자는 약 620만명으로 국민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관련기사
- 한국, ITU 이사국 7연속 진출 성공2014.10.27
- 황창규 “한국형 '히든챔피언' 발굴해야"2014.10.27
- ITU 첫 고위직 배출 "5G 주도권 잡는다"2014.10.27
- ITU 첫 한국인 고위직…표준화총국장 당선2014.10.27
현재 웹툰은 유튜브로 대표되는 동영상과 음악을 제치고 국내에서 가장 사랑 받는 콘텐츠로 자리 잡았으며,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광고상품, TV프로그램, 출판 등에 폭넓게 활용되는 대표 콘텐츠로 성장했다.
한편, 김 대표는 이용자가 주체적으로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인터넷 플랫폼의 가능성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밝히며,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크리에이터스 마켓, 네이버 웹소설, 네이버 뮤직의 뮤지션 리그, 그라폴리오, 인디극장 등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