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어진 전기회로에 레이저를 비추면 단락된 부분이 원 상태로 돌아간다.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박정기 김희탁 교수가 성균관대학교 성균나노과학기술원(SAINT) 이승우 교수와 공동으로 ‘빛을 이용한 자기회복 전기회로’를 세계최초로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개발된 회로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발표용 레이저포인터를 2분 정도 조사하는 것만으로도 끊어진 부위를 처음처럼 완벽하게 수리할 수 있다. 휘고 접고 비틀어도 잘 작동되는 연성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전자기기나 웨어러블 컴퓨터는 물론 움직임 많은 인간형 로봇의 전선으로 적용해 곧바로 수리할 수 있다.최근 얇고 휘어지는 고집적회로를 내장한 전자기기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전기회로에 구부림 등 외부 자극으로 인해 내부 전기회로가 손상될 수 있다. 고밀도 회로가 적용된 탓에 고장 난 부분만 수리하기가 어려워 주로 모듈단위로 바꿔야하기 때문에 비싼 수리비용과 자원낭비 문제가 되고 있다.
관련기사
- KAIST, 특허 허브국가 육성 토론회 개최2014.10.15
- 시스코코리아 "고교·대학서 IoT 인재 양성"2014.10.15
- KAIST-대전선병원, 모바일 헬스케어 공동연구2014.10.15
- 세포 성장·손상 일으키는 ‘활성산소’ 원리 규명2014.10.15
연구팀은 빛의 편광 방향과 나란하게 움직이는 아조고분자를 휘어지는 성질이 있는 연성필름에 코팅했다. 그 위에 전기전도가 우수하며 손쉽게 합성이 가능한 은나노와이어를 도포해 휘어지는 전기회로를 완성했다.
박정기 KAIST 교수는 “플렉시블 전자기기의 전기회로 단락문제를 해결해 전자기기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영화 속 아이언맨도 탐낼만한 차세대 신기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