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범 LGD “시장변화 맞춰 꾸준히 수익 낼 것”

일반입력 :2014/09/01 17:30

<광저우(중국)=조무현 기자> 한상범 LGD디스플레이 사장은 포화되어있는 LCD패널 시장에서 LG디스플레이가 꾸준한 수익을 가지고 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안정화로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익감소(크리스탈 사이클) 가능성이 적은 외부환경과 제품 차별화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가지고 간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31일 한 사장은 중국 광저우 8.5세대 LCD 패널 준공식 일정에 맞춰 현지에서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한 사장은 “급성장하는 중국시장에 투자가 많을 수 밖에 없다”며 “하지만 공급만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평균 TV 사이즈도 커지고 있고, 특히 중국은 이미 평균 40인치를 넘어선 상황으로 업계에서 우려하는 만큼 공급이 넘치고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패널 업계의 경우 투자와 생산에 시기에 맞춰 생산량이 급격히 늘어나 시장에 과잉공급으로 인한 가격 급락으로 패널 제조사들의 수익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해 한 사장은 회사 내 다른 라인의 생산량 축소로 과잉공급 현상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반기 (국내에) OLED 라인을 추가하게 되면 LCD 생산량 중 5만장이 줄어든다”며 “또한 6세대 LTPS 라인까지 전환하게 되면 추가적으로 국내 LCD 생산 물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광저우에서 생산하는 물량과 밸런스를 맞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면적기준으로 공급은 한 자리 수 중반, 수요는 한 자리 수 중후반대 증가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수급이 균형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광저우 패널 공장에서는 55, 49, 42인치 등 중대형 고급형 TV용 LCD 패널을 주력으로 생산해 경쟁업체와 패널 사이즈로 차별화를 이루고 수익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이 자국 LCD 산업 보호 차원으로 자급률을 내년 80%로 확대하는 계획에도 프리머엄으로 차별화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 한 사장의 설명이다.

현재 생산량은 월 6만장(유리원판 투입 기준)이다. 오는 2016년 말까지 12만장까지 시장 변화에 대응하며 계획대로 생산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중국시장 자체도 커져 공급과잉 우려는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 사장은 “중국에 6대 메이저가 패널을 요구하면 모든 업체에 다 공급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며 “중국시장이 커져서 수요에 맞춰 공급을 모두 해주는 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LG디스플레이도 주요 고객사를 전략적 판단 하에 현재는 하이센스, 스카이워스, 콩가 등 메이저 3~4개로 줄였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한 사장은 광저우 공장의 수율 유지 관리에 관하여는 “국내에서 우수인력이 파견 나왔고 현지에서도 우수한 인력을 뽑아 운영 중”이라며 “광저우 패널 공장 수율의 경우 국내보다 불과 1~2% 정도 낮은 수준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향상되고 있다”고 말해 자신감을 내비쳤다.

LG디스플레이는 현재 OLED에도 과감히 투자 중이다. 아직 시장이 열리지 않았지만 열리면 선투자로 확보한 기술력으로 경쟁사보다 앞서겠다는 계획이다.

한 사장은 “중국 시장도 OLED가 이제 시작했다. 국경절 때 본격적인 마케팅을 할 것”이라며 “현재 삼성이 OLED를 안하지만 언젠가는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중국 고객(TV 업체)들이 3D와 더불어 OLED도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중국 패널 제조사의 추격에 대해서는 “중국 패널 업체들도 OLED 하긴 하겠지만 OLED는 저가로 제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OLED 수율 변화에 대해서는 “UHD OLED가 나오면서 떨어진 것도 있지만 OLED TV 수율도 많이 높아졌다”며 “제품 가격은 세트업체에서 결정하는 것이고 LGD는 가격 경쟁력 높이고 원가 낮추는 부분을 더욱 고민, 시장의 파이를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자동차로의 확장에 관하여는 꾸준한 성장은 있겠지만 당장 거대한 수익원으로 변하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한 사장은 “자동차 분야는 매력있는 분야지만 아직은 정보안내 디스플레이(CID) 위주로 사업을 진행중이다”라며 “일본 JDI, 샤프 등이 클러스터(계기판) 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속에서 LGD도 이러한 분야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꾸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자동차 베이스는 당해년도 베이스가 아니라 3~5년 뒤를 봐야 되는 것으로 2016년 비즈니스는 이미 80% 끝났다”라며 “2016년엔 지금보다 매출이 2배는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