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 진행과 관계된 효소를 찾는데 성공했다. 발견된 효소는 향후 정확한 알츠하이머병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7일 경북대학교 배재성 교수 연구팀이 환자혈액과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알츠하이머병과 연관된 스핑고지질 효소인 ASM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ASM은 스핑고지질 대사 효소 중 하나로, 뇌조직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스핑고마이엘린을 세라마이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연구팀은 정상인에 비해 알츠하이머 환자의 혈액에서 ASM 효소가 증가된 것을 착안, ASM을 억제하니 세포 내 불필요한 물질 제거활동이 향상되고 기억력이 호전되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알츠하이머병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세포 내 불필요물질 제거활동의 원인이 ASM 효소라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환자의 신경세포를 재구현해 정상인의 신경세포에 비해 ASM 효소 활성이 늘어난 점을 발견했고, 이를 통해 ASM 효소 활성조절로 환자의 신경세포 손상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관련기사
- 치매환자 뇌속 병세 진행...첫 실시간 확인2014.07.27
- 국민 38.9% '디지털 치매' 증상 보여2014.07.27
- 한국인 치매 예측 뇌지도 만든다2014.07.27
- 휴대폰 전자파가 치매를 치료한다?2014.07.27
배재성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원인을 찾고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환자 신경세포에서 ASM 효소의 활성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며 “향후 임상 적용이 가능한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법 개발에 첫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연구결과는 의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온라인판에 지난 21일자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