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행정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전자정부용 서비스형 플랫폼(PaaS) 개발사업이 시작됐다.
안행부와 미래부는 16일 서울청사에서 안행부 박경국 차관과 미래부 윤종록 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착수보고회를 갖고 프로젝트 착수를 알렸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전자정부시스템의 기반환경(SW)과 로그인 기능, 게시판 기능 등 229개의 공통컴포넌트(SW)로 구성된다. 이를 활용할 경우 개발비용 절감, 비표준기술의 사용에 따른 특정업체 종속 해소, 시스템간 상호운영성 제고 등의 효과를 보게 된다고 정부측은 주장했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은 '서비스형 SW(SaaS)'의 개발과, 운영, 관리를 위한 기반 소프트웨어로, 공개SW로 제공돼 누구나 활용과 개량 가능한 플랫폼이다. 사업추진기간은 올해 기술설계(ISP)를 거쳐 2016년까지 3년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주관연구기관이며 클라우드 전문 중소기업들이 개발에 참여한다.
이에 앞서 두 부처는 지난 3월 전자정부에 적용될 플랫폼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MOU는 개방형 플랫폼 기술개발과 표준화, 공공부문 선도 적용, 인력양성과 민간 확산 및 글로벌 진출 등에 협력하는 내용을 골자로 했다.
개방형 플랫폼은 현재의 전자정부시스템의 구축·운영 표준인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국내외에서 검증된 공개소프트웨어들을 활용한다. 두 부처는 개발 완료 후 기업과 일반개발자에게 공개하고 정부의 적용 우수사례를 전파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전자정부 사업, 미래부가 못맡는 이유2014.06.16
- 정부판 PaaS, 실전투입 가능한가2014.06.16
- “클라우드 수요창출 공공부문 앞장”…정부 육성계획2014.06.16
- 무너지는 올드IT...클라우드의 역설2014.06.16
안전행정부 박경국 제1차관은 “민관이 힘을 합쳐 우수한 플랫폼SW를 개발해 국내외에 공개함으로써, 한국의 전자정부와 대국민서비스 품질을 한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뿐만 아니라 글로벌 차원에서 개방·공유·협업의 정부3.0 정신 실현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윤종록 차관은 “IT 생태계와 미래 산업의 핵심인 클라우드 플랫폼을 우리나라가 주도함으로써 창조경제 실현의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