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공부문이 선도적으로 수요를 창출하겠다고 나섰다. 또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5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클라우드 산업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미래부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대응역량이 취약함에 따라 공공의 선도적 수요 창출과 민관 협력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선 공공부문의 선도적 수요 창출을 위해 안행부-미래부 협력으로 공개 소프트웨어(SW)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개발해 공공부문에 우선 적용한다. 이후 민간으로 확산해 중소기업이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해 클라우드 시장에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 개발자, 기업들이 개방형으로 참여함으로써 인력양성, 창업, 사업화 등 산업 육성이 연계되는 플래그십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미래부는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고, G-클라우드(통합전산센터) 구축시 기관별로 상이한 개발․이용환경 구축에 따른 호환성 미흡, 중복 개발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올 상반기 클라우드법안이 국회에서 통과, 시행될 경우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진다. 미래부는 공공부문의 민간 서비스 이용범위, 기준, 절차 등을 마련해 오는 2015년 시범도입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공공기관의 15% 이상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토록 유도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해서는 SW개발․테스트→시범서비스→사업화 등 중소․창업 클라우드 기업의 생애 전주기에 걸친 종합지원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지원센터(NIPA 운영)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정성․성능 검증 등을 위한 테스트베드도 확대 운영한다. 또 수요기관 대상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 제공을 통해 우수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가 많이 이용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기업간 협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공동 브랜드, 기술개발, 판로개척, 클라우드 협동조합 설립 타당성 검토 등 국내 중소 클라우드 기업의 협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 여기에 중소기업 협업 비즈니스 모델로 부각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리지 사업화, 인력양성 및 시범사업 등을 추진한다.
최근 클라우드는 IT자원을 구매, 설치하는 방식에서 빌려 쓰는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IT예산 절감, 효율성 향상, 신산업 창출의 핵심 원천으로 부각되고 있다. IDC에 따르면 세계 클라우드 시장은 지난 2012년 457억달러 규모에서 오는 2017년 1천204억달러로 연평균 22% 성장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 “공대, 창조경제 전진기지”…미래부, 혁신추진2014.01.15
- 무료 클라우드 스토리지 잇단 유료화...왜?2014.01.15
- '클라우드의 충격, 세계로 퍼지고 있다'2014.01.15
- 중국 클라우드 서비스, 해외 시장 본격 노크2014.01.15
반면 국내는 지난 2012년 5억달러에서 2017년 16억달러로 연평균 28%의 빠른 성장이 예상되나 공공, 민간 모두 아직 클라우드 이용률이 저조하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클라우드가 IT산업의 새로운 생태계 구축을 촉발함으로써 우리 SW, IT산업에는 위기이자 새로운 기회”라며 “공공부문의 선도적 수요 창출과 민관 협력으로 우리 클라우드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창조경제 실현을 앞당기는 원동력으로 만드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