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D-2, 이번엔 보안위협 막을 준비됐나

일반입력 :2014/06/02 18:24

손경호 기자

6.4 지방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선관위측은 2011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대한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2012년 대선 당시 투표지분류기 오작동 등으로 인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하는 한편, 일각에서 제기된 여러가지 우려, 의혹 등에 대해 해명했다.

2일 선관위는 먼저 DDoS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보안 인프라를 이전 보다 강화했다고 밝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보화담당관실 장현철 사무관은 2011년 사고 이후 국가정보통신망 이외에 KT, LG유플러스가 제공하는 사이버 대피소를 활용, 백본망을 이원화해 1차로 공격을 막고 있다고 설명했다. DDoS 공격이 발생하더라도 KT망에서는 최대 초당 80기가비트(Gbps)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도 비슷한 수준 용량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KT측은 지난달 15일부터 '선거통신 안정지원 TF'를 꾸려 DDoS 공격 대응, 긴급복구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선관위는 홈페이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에 대한 보안성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선관위 홈페이지 내에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가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개인정보필터링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지난 대선 당시 종이걸림 현상 등 오작동을 일으켜 문제가 됐던 투표지분류기도 1천900대에 달하는 기기 중 1천431대를 교체했다.

선관위에 따르면 투표지분류기는 후보자별 유효표와 미분류표(무효표+어느 후보자 표인지 애매한 표)를 분류하는 기계장치로 유무선 인터넷과는 전혀 연결되지 않아 해킹 위협으로부터 차단돼 있다고 밝혔다.

투표지분류기는 또한 내부자를 통한 조작을 막기 위해 설치 및 운영시 보안카드를 집어넣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사용할 수 있도록 돼 있다.

보안카드는 여야, 선관위가 각각 갖고 있는 키값을 모두 입력해야만 발급받을 수 있다. 내부자가 선거를 조작하려고 해도 세 조직이 갖고 있는 키값을 전부 알아야내야만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

보안프로그램 위변조에 대해서는 실행 전 무결성 검사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확인한다. 프로그램을 변경하기 위해서도 키값이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지난 선거에서 선관위가 집계해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결과와 방송사에서 집계한 결과가 다르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선관위 관계자는 개표소에서 집계된 내용은 개표상황표에 표시되고 이 내용이 다시 선관위 홈페이지로 전송되고, 그 결과 같은 방송사에도 전달된다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간 차로 인해 그렇게 될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최종 개표결과에 대한 방송사와 선관위 데이터를 대조해보면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6.4 지방선거에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에는 QR코드가 찍힌 투표용지가 처음으로 도입됐다. 이와 관련 일부 유권자들은 QR코드에 내가 누구를 찍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가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 문제에 대해서도 선관위 측은 QR코드에는 선거구, 해당 지역 선거관리위원회, 투표지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만 들어가 있고, 개인정보는 전혀 포함돼 있지 않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