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간이 다가오면서 투표권을 가진 게임업계 종사자들과 게임팬들의 표심이 과연 어디로 향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게임의 메카로 불리는 경기도지사와 부산시장의 경우 경쟁 구도를 이룬 양 후보들이 게임 정책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차를 보여 투표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분위기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차기 경기도지사 자리를 놓고 새누리당 남경필 후보와 새정치연합 김진표 후보가 맞붙는다. 한 조사기관 여론조사에 따르면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는 불과 0.8%p로, 오차율 범위에서 남 후보가 소폭 앞서는 상황.
경기도지사 투표가 박빙인 만큼 두 후보가 지닌 게임 정책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이 표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남경필 후보는 한국디지털미디어협회(구 한국게임산업협회)에서 회장을 맡고 있는 인물로, 청소년들의 심야시간 게임 이용을 제한하는 ‘셧다운제’에 반대 입장이다. 나아가 유예돼 있는 모바일 게임 셧다운제에 대해서도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는 게임에 대한 규제는 ‘자율적 규제’가 정답이라는 의견을 수차례 피력해 왔으며, 게임 협회장으로서 국회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기로 유명하다. 또 지난해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이 입법 발의한 게임중독법에도 반대 입장이었다.
반면 김진표 의원은 게임규제에 찬성하는 편에 가깝다. 현재 시행 중인 강제적 게임셧다운제를 국회에서 통과 시킨 명단에 이름이 올라 있기 때문이다.
김 후보는 16세 미만 청소년들이 매일 밤 자정부터 오전 6시까지 게임을 이용할 수 없도록 한 강제적 게임셧다운제에 찬성했을 뿐 아니라, 부결된 법안이긴 하지만 19세 미만 셧다운제에도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지사 자리의 경우 게임업계에 미치는 파급력은 상당하다. 한국형 게임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성남시 판교에 국내 게임 기업들이 상당수 입주해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지원과 관심이 곧 게임산업의 발전과 직결될 수 있다는 뜻이다. 작년 기준 성남시 게임기업의 연매출은 4조원 규모며, 종사자 수도 1만여 명을 넘어섰다.
아울러 중소 게임사들을 지원·육성해주는 글로벌게임허브센터와 경기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굿게임쇼 등 경기도가 게임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타 지역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이에 차기 경기도지사가 가진 게임에 대한 철학과 가치관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차기 부산시장에 출마한 새누리당 서병수 후보와 무소속 오거돈 후보도 게임에 대한 시각차가 뚜렷이 엇갈린다.
지난해 서병수 후보는 같은 당 소속 손인춘 의원이 입법 발의한 ‘인터넷게임중독 예방에 관한 법률안’과 ‘인터넷게임중독 치유지원에 관한 법률안’, 일명 ‘게임중독법’을 공동 발의했다.
이에 국내 게임업계는 부산 최대 축제인 ‘지스타’ 보이콧 움직임을 보이며, 부산시에 대한 깊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지스타로 2009년부터 매년 1천24억원에 달하는 경제효과를 거두고 있는 부산시의 의원이 게임규제법을 공동 발의했다는 이유였다.
전년도 주요 후원사였던 위메이드는 앞장서 지스타 보이콧을 선언했으며, 실제로 지난해 열린 지스타에 불참했다. 엔씨소프트·NHN엔터테인먼트·네오위즈게임즈 등 대형 게임사 역시 신작 부재의 이유와 지스타 보이콧 영향으로 행사에 참가하지 않았다.
반면 오거돈 후보는 부산을 게임도시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갖고 공약을 준비 중이다.
오 후보가 서병수 후보와 차별화 전략으로 선보일 공약은 “글로벌 게임 및 e스포츠 도시로 부산을 육성하겠다”는 차원에서 전체적인 틀이 짜였다.
세부 계획으로는 ▲게임 콘텐츠 산업 단지 구축 ▲게임 전시회 지스타의 세계적 위상 정립 ▲게임 및 e스포츠로 산업 진흥기관으로서의 부산정보산업진흥원 확대 개편 ▲e스포츠 전용 경기장 설립 등이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 [기자수첩]서병수 후보, ‘지스타’ 할 수 있나2014.05.13
- 지스타 보이콧 야기 서병수, 부산시장 적격 논란2014.05.13
- 셧다운제 손인춘 의원, 게임업계 대표 회동2014.05.13
- 게임업계 달래기…“지스타 보이콧 멈출까”2014.05.13
부산시가 게임 기업들을 육성하고 지스타 행사를 더욱 키움은 물론, e스포츠 문화를 확대하겠다는 것.
게임업계 관계자는 “경기도와 부산시는 국내 게임 기업들이 밀집해 있고 다양한 게임 행사들이 개최되는 중요한 지역”이라며 “해당 지역의 수장이 갖고 있는 게임에 대한 인식이 국내 게임산업 발전에 직결될 수밖에 없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