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보화진흥원이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를 제작해 배포한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링크드 오픈 데이터 베이스(LOD DB)구축 공정과 절차를 명확히 해 신기술도입사업에 따르는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민·관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링크드 데이터 구축공정 가이드(v1.0)를 제작해 배포한다고 8일 밝혔다.
웹 창시자 팀 버너스 리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LOD는 데이터를 의미적으로 연결하고, 웹에 개방해 하나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처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차세대 웹 기술이다.
국내에서는 최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LOD를 시범적으로 구축하기 시작했고,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생물분야와 한국사 등 2개 분야의 LOD기반 국가DB구축 사업을 추진했다.

NIA는 사업기간동안 기관과 사업자 및 민간전문가가 참여한 LOD TF를 구성해 약 5개월간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고, 민간사업자 및 연구기관의 의견을 종합해 링크드 데이터 구축공정을 도출했다.
본 가이드는 데이터 현황조사와 구축대상 선정을 포함하는 준비단계와 데이터의 링크드 데이터 전환 및 발행 단계 등 총 2단계로 구분했다.
또한 각 단계를 세부공정으로 나누어 공정별 주요활동과 결과물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LOD구축대상 선정 및 품질체크에 대한 내용을 부록으로 제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 페이스북 앱링크…모바일앱 대세론 힘받나2014.05.08
- 빅데이터 플랫폼 시장, 합종연횡 급물살2014.05.08
- "빅데이터 시대, 암호화 데이터가 가장 중요"2014.05.08
- 빅데이터분석활용센터, 이게 최선입니까?2014.05.08
장광수 NIA 원장은 “국내에서는 아직 LOD구축사례가 많지 않아 참고할 만한 자료가 부족한 가운데 본 가이드가 실무자의 LOD사업 추진과 관리 및 점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가이드는 국가DB카탈로그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NIA는 LOD를 적용한 국가DB구축과 더불어 가이드 개발 및 관련 교육 등 신기술의 도입과 보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