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원사 계급 위에 '현사'라는 새로운 계급을 만든다. 준사관(준위)과 원사 사이에 새로운 계급을 만들어 부사관 인사 적체를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부사관 계급은 기존 4단계(하사-중사-상사-원사)에서 5단계(하사-중사-상사-원사-현사)로 늘어나게 된다.
11일 국방부는 “최근 각 군 장교와 부사관, 병사 등을 대상으로 신설할 부사관의 계급 명칭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현사라는 이름이 가장 많이 나왔다”면서 “지난달 백승주 국방차관이 주재하는 정책회의에서 원사 위에 현사를 두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 동안 국방부는 부사관 인사 적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대안을 검토해왔다. 지난 1995년과 1999년 각각 국방부와 육군 주도로 한 계급 증설을 통해 인사적체를 해소하려다 이를 중단한 바 있다. 계급 신설로 군은 부사관 인건비가 연 평균 300억원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2009년 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신규 계급 추가 필요성을 제기한 이후 논의가 다시 시작됐으며, 박근혜 대통령 당선 직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부터 부사관 계급 신설 방안을 논의, 추진해왔다.
관련기사
- 폰 10분만 참아도 아프리카 아이 구한다2014.03.11
- 이보영 결혼사진 공개 "눈부신 신부"2014.03.11
- 국방부가 정태춘의 ‘북한강에서’ 삭제?2014.03.11
- 국방부, 연예병사 제도 폐지...8명 징계2014.03.11

국방부는 이에 따라 3천781명을 대상으로 부사관 신설 계급 명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현사를 선택한 응답자가 590여명으로 가장 많아 이를 채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외 응답으로는 일등원사, 선임원사, 총사, 진사, 충사, 위사 등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다.
누리꾼들은 중사 형님들 이제 미래가 좀 보이겠네, 원사들 진급해서 월급 더 받고 좋겠네, 인사적체 심한 거는 우리 때부터 있던 이야기였는데 이제 좀 해소되려나, 군이 너무 비대해질지도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