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일 영업정지, 이통사 실적에 약될까 독될까

영업이익 늘어 긍정적…갤럭시S5 출시 변수될 듯

일반입력 :2014/03/07 16:23    수정: 2014/03/07 16:26

정윤희 기자

이동통신3사가 오는 13일부터 각사당 45일씩 순환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영업정지 기간 동안 신규모집, 번호이동 뿐만 아니라 기기변경(분실파손, 24개월 이상 사용은 예외)까지 금지되면서 이동통신사 실적에 미치는 영향에도 관심이 쏠렸다. 일단 마케팅 비용이 줄어 영업이익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통사 입장에서는 긍정적이라는 것이 증권가 반응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7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 대해 불법보조금 지급 금지행위 중지명령을 불이행한 책임을 물어 오는 13일부터 5월 19일까지 각각 45일간 영업정지 명령을 내렸다.

영업정지 방식은 2개 사업자 동시 영업정지다. 오는 13일부터 KT와 LG유플러스를 필두로 시작된다. KT는 13일부터 4월 26일까지, SK텔레콤은 4월 5일부터 5월 19일까지, LG유플러스는 두 차례에 나눠 13일부터 4월 4일까지와 4월 27일부터 5월 18일까지다.

■마케팅 비용 아껴 영업이익 는다

증권가에서는 영업정지로 인해 이통사 영업이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대세다. 보조금 경쟁이 줄어들면서 전체 수익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휴대폰 보조금은 마케팅 비용으로 분류되며, 평균적으로 전체 매출 대비 23~28%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실제로 이동통신3사의 지난해 연간 마케팅 비용은 SK텔레콤은 3조4천280억원, KT 2조6천811억원, LG유플러스 1조8천362억원이다. 지난해 4분기 동안에만 SK텔레콤 8천420억원, KT 7천557억원, LG유플러스 4천772억원을 쏟아 부었다.

최남곤 동양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영업을 못하게 됨으로써 마케팅 비용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특히 1분기 경쟁이 과열되는 상황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2분기 실적은 확실히 개선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양종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일단은 45일이라는 기간 동안 마케팅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영업이익이 올라갈 것이라는 점은 당연한 얘기”라고 말했다.

■매출 줄지만 비용 절감 효과 더 커

이동통신사들은 영업이익은 늘어날 수 있으나 영업정지 기간이 길어지면서 매출 역시 줄어들어 마냥 좋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마케팅 비용을 아낄 수 있긴 하지만 새로운 상품서비스, 네트워크 투자 등에도 계속해서 진행하는 만큼 엄청난 이익 개선이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라며 “영업정지로 인해서 매출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KT 관계자 역시 “보조금으로 인한 영업비용이 주는 것은 확실하고, 이것만 놓고 보면 영업이익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영업정지를 하게 되면 상품수익에서 단말기 매출 부분도 같이 줄어들어 매출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매출에서 비용을 제외한 것이 영업이익이라, 일반적으로 매출이 줄게 되면 영업이익도 줄어 든다”며 “다만 이 경우에는 영업비용도 같이 감소하게 돼 무엇이 더 플러스 마이너스 될지는 지금 당장 예상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영업이익은 올라가지만 매출은 분명히 줄어든다”며 “원래 1분기에 가입하는 이용자가 매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3월에는 아예 가입자를 받을 수 없게 되면서 매출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증권가에서도 매출이 다소 줄어든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 다만 전체적인 측면에서는 비용 억제가 훨씬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예상이다.

양종인 연구원은 “가입비 매출도 줄어들고 우량가입자인 LTE 가입자로 전환하는 속도가 더뎌져 매출 측면에서는 일정 부분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는 있다”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이익 세이브를 통한 긍정적 영향이 더욱 크다”고 분석했다.

성준원 신한금융투자 연구원 역시 “매출이 줄어든다는 것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면서도 “영업정지 기간 동안에는 짧은 기간이나마 비용은 억제되고 이익은 올라간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최남곤 연구원은 “통신시장은 영업을 한다고 해도 가입자 전체 파이가 커지는 것이 아닌 서로 간 제로섬 게임 중”이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비용을 줄이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며, 매출액이 줄어드는 것은 미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갤S5 출시 변수?…장기적 경쟁억제 효과 의문

다만 영업정지 기간 중 변수로 꼽히는 것이 삼성전자 갤럭시S5 등 신제품 출시다. 갤럭시S5가 출시되는 시점에 영업을 하고 있는 사업자의 경우 가입자 모집에 좀 더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갤럭시S5가 출시되는 내달 11일 유일하게 영업을 하는 사업자는 LG유플러스다.

성준원 연구원은 “전체적으로는 지난해 영업정지와 비슷한 양상으로 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올해는 영업정지 기간 동안 갤럭시S5가 언제 나오느냐에 따라서 이통사 간 희비가 갈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단, 신제품이 나왔다고 해도 1개 사업자만 영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혼자서 거액의 보조금을 투입하기는 쉽지 않다.

최남곤 연구원은 “국내 시장에서 번호이동 숫자가 증가하는 것은 인당 마케팅비용을 30~40만원 이상씩 쓸 때”라며 “특정기간에 한 사업자만 영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금을 많이 쓰면 티가 확 날 것”이라고 말했다.

실질적인 영업정지의 효과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관련기사

최 연구원은 “장기적으로는 이번 영업정지는 어떻게 보면 이통3사 모두에게 공평한 제재로 경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라며 “보조금 경쟁은 3사간 시장점유율 싸움인데, 영업정지가 끝나도 점유율 이슈는 끝난 것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이어 “시장점유율 이슈는 2분기 영업정지 종료 후에도 지속되기 때문에 보조금 경쟁은 반복될 수 있다”며 “금번 영업정지가 장기적인 대안은 아니다”는 의견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