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벤처 활성화 정책 속도감 높일 것""

일반입력 :2014/01/24 09:36    수정: 2014/01/24 10:22

이재운 기자

정부가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해 속도감 있는 실행을 통해 정책시차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24일 기획재정부는 추경호 제1차관 주재로 24일 오전 판교테크노밸리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금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등 유관 기관과 함께 ‘벤처·창업 민·관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추 차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작년부터 추진해 온 정부와 벤처 업계의 벤처·창업 활성화 노력이 일부 성과로 가시화되고 있으나 법령 개정과 펀드 조성에 시간이 소요돼 아직 본격적으로 시장이 변화를 느끼지 못하고 있어 아쉽다며 속도감 있는 실행을 통해 정책시차를 최소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각종 지원이 ‘마중물’ 역할을 할 수는 있으나 결국 민간이 모험투자와 도전적 창업정신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올해도 벤처 생태계를 뿌리 내리기 위한 각종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추 차관은 벤처 생태계 전체 자생력 증대를 위해 ▲우수 기술인력 양성 후 기업가 정신 고양 ▲대기업과 벤처기업간 시너지 제고로 상생관계 정립 ▲규제개선과 애로사항 해소 등 세 가지 방향에서 벤처·창업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벤처기업 활성화 정책에 대해 업계도 화답하며 향후 실질적인 효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남민우 벤처기업협회장은 정부 정책의지에 대해 기업인들의 기대가 어느 때보다 크다며 정부의 제도개선 노력은 실제로 창업과 일자리가 늘어나 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때에만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남 회장은 “앞으로는 인력문제나 글로벌시장 진출, 대중소기업간 협업시스템 구축 등 벤처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정부가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벤처·창업 생태계 각 분야를 대표해 참석한 16명의 참석자들은 향후 정부의 정책 방향과 개선 방안에 대한 건의사항을 제시한다.

고영하 한국엔젤투자협회장은 엔젤투자에 대한 소득공제 범위 확대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대기업의 중소/벤처 인수합병(M&A) 활성화를 위한 기업가치 평가시스템 확립을 건의한다.

벤처기업 ‘쏠리드’의 정준 대표는 우수인력 유치를 위해 현재 기재부가 검토 중인 스톡옵션 제도 개선방안의 조속한 마무리를, ‘휴온스’의 윤성태 대표는 대학생에 장학금을 지원해 졸업 후 벤처기업 취업을 유도하는 장학재단 설립을 요청한다.

관련기사

이외에도 출연연 연구원 대상 창업지원금과 대학 연구진이 특허 사용 수수료를 확보하는 기술특허사무실(TLO) 기업에 대한 기술 매칭 기능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된다.

이날 제기된 내용에 대해 기재부는 추가 검토와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확정된 사안에 대해서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포함시켜 향후 정책에 반영되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