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배터리분리막기술 유럽·일본 특허

한·미·중 이어 주요 2차전지 시장 원천기술 확보

일반입력 :2014/01/22 16:38    수정: 2014/01/22 16:47

정현정 기자

LG화학이 독자 개발한 배터리 소재 원천 기술이 세계에서 인정을 받았다.

LG화학은 배터리 핵심 소재인 분리막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자사의 배터리안전성강화분리막(SRS) 기술로 최근 유럽과 일본 특허청에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로써 LG화학은 지난 2007년 한국, 2010년 미국, 2012년 중국에 이어 올해 유럽과 일본까지 세계 주요 2차 전지 시장에서 관련 원천 기술 특허를 확보하게 됐다.

SRS 특허 기술은 기존 분리막에 비해 열수축 및 전기적 단락을 개선해 전지의 성능 및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이다.

실제로 이 기술은 LG화학이 GM·포드·르노·현대기아차·볼보 등 세계 유수의 완성차 업체와 ABB, SCE, SMA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 관련 회사들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수 십개에서 수 백 개의 배터리 셀을 연결해 사용하는 중대형배터리 분야에서는 각각의 개별 셀들이 균일한 고성능을 내야 전체적인 성능이 담보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막아 전기적 단락을 방지해 안정성을 끌어올리는 분리막의 성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이번 특허 등록으로 한국·미국·중국·유럽 등 2차 전지 분야의 핵심 전략 시장 공략 기반을 한층 강화하고 특허 선점을 통해 경쟁사들의 무단 모방 가능성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기사

실제로 이번 특허 등록 결정 과정에서 경쟁사들은 SRS 특허와 유사한 선행기술이 있다며 유럽에서는 7회, 일본에서는 15회에 걸쳐 관련 정보들을 특허청에 제공하며 특허 등록 저지에 나섰으나 LG화학은 이를 모두 극복하고 특허성을 인정받았다.

유진녕 LG화학 기술연구원장 사장은 “SRS 기술은 LG화학이 막대한 R&D 투자비와 인력을 투입, 독자 개발을 통해 국내외 350여건의 강력한 특허망을 구축하며, 세계로부터 인정받은 소중한 원천기술인 만큼 우리나라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이를 무단으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없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