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연구팀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에서 쌍둥이 블랙홀 발견 소식을 전했다.
12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우종학 교수팀이 45억광년 떨어진 은하의 중심부에서 쌍둥이 블랙홀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천문학분야 4대 국제학술지 중 하나인 영국 왕립천문학회지 온라인판에도 소개됐다. 미래부는 우종학 교수팀이 해외 공동 연구자와 협력 연구를 통해 충돌 후 병합되기 직전 두 은하 중심부에 자리한 블랙홀을 포착했다고 설명했다.
서로 이웃한 두 은하가 충돌하면서 합쳐지면 각각의 은하 중심에 존재하는 블랙홀도 결국은 서서히 합쳐지게 된다. 쌍둥이 블랙홀은 이처럼 서로 다른 블랙홀이 하나로 진화하기 직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애플 ‘우주선 사옥’ 내부는 이렇다2013.11.12
- 인도 화성탐사선 망갈리안 발사 성공2013.11.12
- 인공위성 추락...대국민 알림서비스 실시2013.11.12
- 불가사의 지구형 행성, 말 그대로 '미스터리'2013.11.12

다만 블랙홀은 빛을 방출하지 않아 발견 과정 자체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병합 후기의 쌍둥이 블랙홀은 서로 가까이 붙어 있어 구분하기가 더욱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충돌 후기에 있는 쌍둥이 블랙홀을 확인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발견한 쌍둥이 블랙홀은 2천600광년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그러나 수억년 후 이 거리는 수 광년으로 좁혀지면서 결국 충돌을 통해 하나의 블랙홀로 재탄생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