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이전...뒤숭숭한 미래부

일반입력 :2013/09/12 11:48    수정: 2013/09/12 15:08

김효정 기자

박근혜 정부의 국정목표인 '창조경제'의 주무부처 미래창조과학부가 세종시 이전이 확정되면서 안팎으로 잡음이 일고 있다.

12일 오전 안전행정부와 새누리당은 당정협의를 통해 미래부와 해양수산부의 세종시 이전 원칙에 합의하고, 오는 10월까지 공청회를 거쳐 두개 부처의 이전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현 정부 출범과 함께 3개 부처가 과천에 모여 탄생한 미래부는 불과 1년도 되지 않아 이사를 준비할 상황이다. 정부 초기에 세종시 이전계획에서 빠졌었고 1천여명의 인력을 포용할 수 있는 장소가 마땅치 않아 과천에 청사를 마련했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방문해 현판식을 하는 등 안착하는 듯 보였다.

물론 정부가 주요부처를 세종시로 이전하겠다는 계획을 몰랐던 바는 아니다. 그러나 3개 부처가 모여 인력 운용이 원활하지 않았던 점, 잦은 이전에 따른 업무효율 저하, 그리고 핵심 국정목표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우수 인력 이탈 등 미래부의 세종시 이전이 가져올 부작용도 적지 않아 보인다.

현 정부 출범 이후 끊임 없이 새어 나왔던 '보이지 않는 창조경제'를 보이도록 하기 위해 이제 막 자리 잡은 미래부가 세종시 이전으로 또 다시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공무원들 또한 미래부를 세종시로 이전하더라도 창조경제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이후여야 한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관련기사

그동안 미래부는 세종시 이전, 과천 청사 내에서 다른 건물로 이전 등 소문만 있었지 실질적인 이전 준비가 안 된 상태였다. 이번 당전협의에 따라 세종시 이전이 확정됐지만 미래부 소속 공무원들은 개운치 않은 속내다. 창조경제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뛰고 있는 미래부 공무원들은 현재 야근은 물론 주말에도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앞으로는 세종시에 살 집부터 알아봐야 할 상황에 이르렀다.

한 정부 관계자는 세종시 이전을 반대할 수 없지만 업무 효율성을 고려해 시기를 늦추는 것이 좋을 듯 하다며 갑작스러운 결정으로 이사 준비도 안돼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