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ICT 글로벌 진출 방안은…

일반입력 :2013/06/05 11:18

정윤희 기자

내수시장이 협소한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글로벌 진출’이 필수로 꼽힌다. 국경과 산업의 경계가 없는 ICT 분야는 더욱 그렇다.

문제는 기업들마다 ‘글로벌’을 외친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세계 시장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는 곳은 드물다는 점이다. 내로라하는 대기업이 아닌 중소, 벤처기업은 말할 것도 없다. 과거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제시된 정부의 글로벌 지원 정책도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전체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은 약 19%에 불과하다. 그나마도 수출 중소기업의 약 83%가 연 100만달러 이하를 수출하는 영세한 구조다. ‘자금’, ‘시장정보’, ‘무역전문 인력 부족’ 등 벤처기업의 해외진출을 가로막는 장벽도 만만찮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부처 합동으로 ICT 관련 글로벌 진출 방안을 내놨다.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통해 과학기술과 ICT 융합으로 신산업과 신시장을 창출하고, 기존 산업에 활력을 더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정부 방안은 크게 산업적 지원책과 글로벌 인재 육성 두 가지로 나뉜다. 원스톱 지원시스템을 통해 창업 시작부터 글로벌 기업을 목표로 성장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또 우수 해외 인재의 유치를 위해 창업 비자도 도입한다.

이상목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은 “글로벌 창업, 성장을 꿈꾸는 기업이라면 누구나 세계적 수준의 컨설팅과 네트워크 연계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취업 준비생들이 불필요한 스펙 쌓기에 몰두하지 않고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가진 융합형 인재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해외진출이 유망한 스타트업에게는 국내 거점 인프라(글로벌창업지원센터 등)를 통한 세계시장 진출 가능성 진단을 제공한다. 해외 현지 인프라, 네트워크 지원도 받을 수 있게 한다.

실리콘밸리, 중국 등 전략적 수출 지역서는 해외IT지원센터(3개소), 코리아벤처창업센터(1개소), 재외공간(중소기업제원센터) 등을 통해 관련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동남아시아 등 신흥시장 진출시에는 우리 정부의 대외 IT지원 사업을 통해 형성된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외 진출 비용을 절감 가능하다.

아울러 한류 등 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해 4천억원 규모의 디지털콘텐츠코리아펀드와 위풍당당콘텐츠코리아펀드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음악,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캐릭터, 뮤지컬 등 5대 킬러콘텐츠와 디지털콘텐츠를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글로벌 인재 양성 프로젝트는 초등학교 교육부터 시작한다. 초등학생용 융합인재 교육콘텐츠를 개발해 교과서에 반영하는 식이다. 융합인재 교육콘텐츠는 올해 28종, 오는 2017년까지 35종을 개발해 올해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에, 오는 2015년까지 5, 6학년 교과서에 반영한다. 이를 통해 초중등생은 수학, 과학, 기술, 공학, 예술 등을 융합한 체험 및 탐구교육을 받을 수 있다.

대학생의 경우 확충된 융합 과정 및 융합학과(대학원)를 통해 전공외 타분야에 대한 지식을 습득 가능하다. 정부는 웰빙, 문화예술 등 유망사업 분야 산업융합 특성화 대학원 확대 및 융합형 디자인 대학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창의인재의 해외 진출과 국내 유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글로벌 진출을 원하는 청년은 새로 구축되는 ‘K-무브 포털’과 ‘정부해외인턴십 프로그램’ 등에 지원하면 된다. 해외 산업현장의 실무경험과 글로벌 감각을 키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또 우수 기술을 보유한 외국인도 새로 생기는 ‘창업비자(가칭’를 발급받아 국내서 창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주거, 의료, 교육 등 해외인재의 정주여건을 개선해 오는 2017년까지 세계 톱 1% 연구자 300명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서 연구토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 차관은 “우리나라는 지난 40년간 눈부신 성장을 이뤘지만 글로벌 위기와 신흥국의 추격으로 성장전략의 한계에 다다랐다”며 “모방 응용의 추격형 성장에서 벗어나 국민의 창의성에 기반을 둔 선도형 성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