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하나면 교통사고 완벽처리

SKT, 사고관제 서비스 '스마트엔케어'

일반입력 :2013/05/26 10:08

정윤희 기자

우리나라 한 해 발생 교통사건 건수는 약 22만 건(일 602건). 이로 인한 사상자수도 매년 35만 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인명 구조와 사고 처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서비스가 출시되어 화제다.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동부화재(대표 김정남)와의 협력을 통해 통신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폰과 차량용 블랙박스 기반 사고 관제 서비스인 ‘스마트엔케어’를 27일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앞서 양사는 지난 13일 ‘스마트엔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양사가 보유한 ICT 기술 및 자동차보험 운영 등 역량을 결합해 지속적인 노력으로 서비스를 강화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스마트엔케어 서비스는 블랙박스에 이동통신 기술을 접목시켜 차량 사고 발생 시 스마트폰과 연동, 사고 관련 각종 정보를 관제센터로 자동으로 전송토록 해 빠른 사고 처리까지 이어주는 신개념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차량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장착된 블랙박스가 충격을 감지해 사고 차량의 사고 위치, 사고 시간, 사고 영상, 사고 당시 차량 속도, 사고 당시 충격 수준 등 자세한 사고 관련 정보들을 운전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센터에서는 자체 개발한 사고판단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해 긴급 출동, 보상 처리 등 관련 대응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기존 유사 서비스가 충격 감지 시 운전자와의 통화를 통해 사고 여부를 확인하는 데 반해, 수집된 각종 정보 분석과 함께 당시 영상 확인을 통해 사고를 인지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사전 확인 후 꼭 필요한 경우에만 통화를 실시해 오인지에 의한 불필요한 통화 가능성을 해소했다.

스마트엔케어 서비스 도입은 운전자, 보험사 등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높은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운전자에게는 정확한 사고 위치 및 내용 파악을 통한 신속하고 정확한 사고 처리가 가능해져 사고 시 빠른 구호 조치 등 안전성이 대폭 향상되는 한편, 사고 영상 분석을 통해 가해자-피해자간 분쟁 조정이 용이해지는 등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보험사들 역시 사고 현장에 대한 신속한 출동과 사고 처리 시간 감소, 보상 판정 등 명확한 사고 처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업무 효율성은 물론 고객만족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사회적으로도 사고 처리 업무 지연에 따른 교통 정체 감소 효과와 함께 정확한 사고 내용 파악을 통해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신종 차량 보험사기 시도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스마트엔케어 서비스 출시를 위해 블랙박스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클라우드 기반 관제 플랫폼을 구축했으며, 향후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 등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 유류비 절감, 안전사고 감소 등 운전자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차량 운행정보 제공 솔루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SK텔레콤 이명근 기업사업부문장은 "스마트엔케어 서비스는 ICT기술을 자동차보험과 접목해 운전자들의 안전 운행은 물론 사고 시 신속하고 정확한 사고 처리라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낸 또 하나의 창조경제 사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