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보다 더한 고통, 대상포진 예방하려면...

일반입력 :2013/05/16 09:28

김희연 기자

대상포진 환자들이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아야 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대상포진 환자는 지난 2008~2012년 사이에만 약 40% 가량 늘었을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

대한피부과학회가 지난해 전국 20개 대학병원을 찾은 대상포진 환자 1만9천884명을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56.7%가 마약성 진통제 처방을 필요로 했다. 6.9% 환자는 대상포진의 통증과 합병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상태가 심각하기도 했다.

대상포진은 2~10세 아이들에게 수두를 일으키는 바리셀라 조스터 바이스러가 원인이 되는 질병이다. 어릴 때 수두를 앓고 난 후, 이 바이러스는 신경세포에 잠복하게 되지만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활동을 재개한다. 바이러스가 신경 주변으로 퍼지면서 대상포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증상은 붉은 물집들이 군집을 이뤄 띠 모양으로 나타나며 부위에 타는 듯한 통증을 보이는게 특징이다. 죽음보다 더한 통증으로 일컬을 정도로 고통이 심하다.

일단 감기 기운과 함께 일정 부위에 심한 통증이 느껴지거나 작은 물집이 나타나 물집을 중심으로 통증이 느껴지면 대상포진을 의심해봐야 한다.

대상포진 환자들은 후유증에도 취약하다. 조사 응답자 35.4%가 치료 후에도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흔한 후유증 증상으로는 90.9%가 ‘통증’이라고 답했다. 통증을 겪은 환자들은 대상포진 치료 3개월 후에도 치료약을 복용해야 할 정도였다. 통증의 정도는 매우 심각한 통증 38.3%, 최악의 고통 2.7% 등으로 나뉘었다.

관련기사

이밖에 휴유증으로는 각결막염 등 안구손상, 청각이상 및 어지럼증, 대소변이상, 안면마비 등이 있다.

대상포진 예방을 위해서는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또 평소 손을 깨끗이 씻어 세균이 공격하지 못하도록 주의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은 물론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