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기업문화수준이 세계적 글로벌 기업에 비하면 59점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상명하복’의 직장풍토를 탈피하고 창의성 발휘를 돕는 기업문화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의 직장인 500여명을 대상으로 ‘창조경제시대 기업문화 실태와 개선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문화 점수는 평균 59.2점이다.
직장인들은 “구글, 페이스북 등 기업문화가 창의적인 글로벌기업을 100점이라고 할 때 귀사의 기업문화점수는 얼마인지”를 묻는 질문에 평균 59.2점의 점수를 줬다. 대기업이 65.7점, 중견기업 63.1점에 비해 중소기업의 평점은 57.0점을 나타냈다.
■우리 기업 ‘상명하복’ 경직
기업문화가 창조경제시대에 해외기업에 비해 창의성 발휘를 하기 어려운 원인에 대해 직장인들의 절반이상(61.8%)은 ‘상명하복의 경직된 의사소통체계’를 꼽았다.
‘개인보다 조직전체를 강조하는 분위기’도 절반(45.3%)에 육박했다. ‘부서 이기주의’(36.7%), ‘지나친 단기성과주의’(30.7%)도 30%를 상회다. 반면 ‘복잡한 보고체계’(15.7%), ‘연공서열식 평가와 보상’(15.6%)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외 ‘직장내 갈등’, ‘조직내 불통’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직장내 상사나 선배와 갈등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직장인의 68.5%가 ‘그렇다’고 응답했다(‘자주 그렇다’ 6.4%, ‘가끔 그렇다’ 62.1%, ‘거의 그렇지 않다’ 15.8, ‘전혀 그렇지 않다’ 15.7%).
갈등을 겪는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업무와 관련해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서’(67.2%), ‘내 담당이 아닌 업무까지 시켜서’(20.9%), ‘사적인 일까지 간섭한다고 느껴져’(9.1%), ‘회식, 야근, 주말근무 등을 강요해서’(2.8%) 등을 꼽았다.
■직장인 88%, “창조경제에 맞춰 문화 바뀌어야”
“‘당신의 직장은 보수적 기업문화를 갖고 있습니까”라는 물음에 직장인들의 71.5%는 ‘그렇다’고 응답했다(그렇지 않다 28.5%). 보수적 기업문화를 갖고 있다고 응답한 직장인의 65.5%는 ‘CEO의 의식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직장인들의 87.8%는 “창조경제시대에 걸맞는 기업문화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상의는 “워크하드(Work hard; 열심히 일하기)가 아닌 워크스마트(Work smart; 똑똑하게 일하기) 분위기가 기업 전반에 확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창조경제시대를 맞아 기업문화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는 만큼 아이디어 제안제도, 창의적인 시·공간 활용 등을 통해 창조적으로 일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직장내 아이디어 제안제도가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없다’ 또는 ‘있어도 유명무실하다’는 응답이 56.0%에 이르렀다(‘없다’ 51.2%, ‘있지만 유명무실하다’ 4.8%, ‘있다’ 44.0%). 제안제도를 두고 있더라도 이들 기업의 81.6%는 ‘사내 지식공유채널’에 그치고 있었다.
신사업을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기업내 벤처인 ‘사내벤처’는 6.7%에 불과했으며 아이디어에 대해 사장의 권한을 갖는 ‘소사장제’ 도입기업은 2.4%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 기업 38% 2016년까지 "직원 업무장비 안 사줘"2013.05.07
- 공무원노사, LG전자 선진 문화 배운다2013.05.07
- '문화와 기술의 만남' CT포럼 성황리 개최2013.05.07
- 월드 랠리서 만난 현대차 vs 토요타…"여기선 빠른 제조사가 1위"2024.11.22
고객이나 외부전문가의 아이디어를 기술개발이나 마케팅 등에 활용한다는 기업은 전체의 14.1%로 나타나 ‘조직의 폐쇄성’도 창조경영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리프레시공간 확보와 관련해서도 카페테리아를 두고 있는 기업은 19.6%였으며 도서관은 11.1%였다. 원격근무 거점인 스마트워크센터는 4.8%, 영유아 보육센터는 4.8%에 불과했다. 특히 직장인의 81.8%는 “업무공간이 상사에게 노출돼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