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電, 휴대폰 흑전 "땡큐, LTE"

일반입력 :2012/10/24 13:34    수정: 2012/10/24 13:53

남혜현 기자

LG전자 휴대폰 사업부가 깜짝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당초 집중된 마케팅 비용으로 소폭 적자가 예상됐으나, 옵티머스 LTE2를 비롯한 주력 스마트폰 선전으로 영업이익 구조를 개선했다.

24일 LG전자(대표 구본준)는 지난 3분기 연결매출 12조3천758억원, 영업이익 2천205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체 매출은 비수기 진입한 에어컨 매출 감소로 전분기 대비 4% 가량 감소했으나, 영업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해 수익성을 지속 개선했다. 그러나 전분기 대비 영업익은 37% 가량 줄었다.

눈에 띄는 부분은 휴대폰 사업부의 흑자전환이다. 휴대폰이 속한 MC 사업본부는 3분기 매출 2조4천475억원, 영업이익 215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연구개발과 마케팅 비용이 증가했으나, 늘어난 스마트폰 판매량이 이를 상쇄했다.

LG전자에 따르면 MC사업본부의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5% 늘었다. 3분기 휴대폰 판매량은 총 1천440만대로, 전분기 대비 10%나 증가한 수치다.

'옵티머스 LTE 2'를 비롯, 'L-시리즈' 등 주력 모델 판매가 늘면서 스마트폰 판매량도 전분기 대비 20% 이상 급증, 전체 휴대폰 판매량 중 절반을 차지했다. LTE스마트폰은 전 분기 대비 27% 증가해 분기 최다 판매량을 경신했다.

TV를 포함한 HE 사업부는 이 기간 5조4천864억원, 영업이익 886억원을 냈다. 선진시장 경기침체로 인한 글로벌 TV시장이 부진했으나 LCD TV판매량은 시네마 3D 스마트 TV 판매 성장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8% 증가했다.

TV부문 수익성은 4분기 성수기 대비를 위해 마케팅 비용을 선행 투입해 전분기 대비 하락, 전년 동기 수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고 LG전자측은 설명했다.

백색가전이 포함된 HA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 8천675억원, 영업이익 1천285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매출과 영업이익을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미와 성장시장 중심으로 시장 맞춤형 제품을 지속 출시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수익성이 동반 개선됐다.

에어컨을 주력으로 하는 AE사업본부는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액 9천743억 원, 영업이익 118억원을 내며 전분기 대비 성적이 다소 하락했다. 그러나 LG전자는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에어컨 매출 비중 확대와 중동, 중남미 등 신흥시장의 매출 증가로 전년 동기 보다 수익성을 개선했다고 평가했다.

LG전자는 4분기 84인치 울트라 HD TV를 한국에 이어 호주, 중국 등 글로벌 주요 시장으로 확대 출시하고 시네마 3D 스마트 TV 마케팅을 지속 강화해 수익성을 지속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휴대폰 부문은 성수기 시장 공략을 위해 '옵티머스 G' '옵티머스뷰2'를 중심으로 마케팅을 대폭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LG그룹의 역량을 결집한 '옵티머스 G'의 글로벌 확대 출시를 통해 매출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HA사업본부는 주요 시장의 수요 정체로 인해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연말 성수기를 대비해 신모델을 적기에 출시해 건전한 매출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AE사업본부는 선진국의 에너지 효율 규제 강화에 대응하는 고효율 제품 중심으로 시장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스템에어컨 사업 성장을 통해 수익성 확보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