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PC부팅영역 악성코드 전용백신 무료배포

일반입력 :2012/10/23 17:37

손경호 기자

안랩은 PC의 부팅영역인 마스터부트레코드(MBR)를 감염시키는 악성코드인 '부트킷'을 방지할 수 있는 게임계정탈취 악성코드 전용백신을 무료로 배포한다고 23일 밝혔다. 국내에서도 '아두스카'라는 부트킷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MBR은 PC가 부팅하는 데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된 물리적인 하드 디스크 영역이다. MBR은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도 제한적이라 이를 겨냥한 악성코드를 제작하기가 어렵다. 그만큼 백신 프로그램으로 진단/치료하기도 매우 까다롭다. 최근 이를 노린 부트킷이 속속 제작되고 있는 추세다. 안랩이 발견한 아두스카 부트킷은 P2P 사이트 등에서 '해피투게더.exe' 파일로 배포된다. 사용자가 이 파일을 실행하면 일본 성인 만화가 설치된다. 이 중 'crvsv.exe'가 악성코드 파일이다. crvsv.exe가 MBR을 감염시키고 백신 프로그램을 무력화하는 악성코드를 설치한다. 재부팅 시 감염된 MBR이 실행되면 도박성 온라인 게임(HIGHLOW2.EXE, POKER7.EXE, LASPOKER.EXE, BADUKI.EXE, DUALPOCKER.EXE)의 계정이 악성코드 제작자의 인터넷 카페로 전송된다. 이는 해당 게임 사용자의 사이버 머니를 탈취하고, 사용자 PC의 맥 주소, 운영체제(OS) 버전 등이 유출된다고 안랩은 밝혔다. 이 회사는 아두스카 부트킷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으려면 '해피투게더.exe' 파일을 실행하지 않도록 유의하고, 감염이 의심될 경우 안랩이 무료 배포하는 전용백신(http://www.ahnlab.com/kr/site/download/vacc/vaccView.do?seq=108)을 다운로드해 진단/치료하면 된다.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 이호웅 센터장은 "그동안 부트킷은 대부분 러시아와 루마니아를 포함한 동유럽 지역에서 제작, 유포되는 사례가 많았으나 새로 발견된 아두스카 부트킷을 국내 사용자를 겨냥해 제작됐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