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LTE 오픈이노베이션 센터로 상생

일반입력 :2012/10/08 12:04    수정: 2012/10/08 13:15

정윤희 기자

LG유플러스(대표 이상철)는 4G LTE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통해 사물지능통신(M2M) 분야서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는 중소기업과 개발자들에게 LTE 디바이스 및 앱 개발과 이에 대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고 아이디어 발굴, 공동 마케팅과 판촉을 지원하는 곳이다.

현재 해당 센터에서는 국내 중소기업 및 국내외 IT전문기업과 M2M 분야에서 LTE 디바이스와 앱 20여건이 개발됐거나 개발 중이다. 지난해 8월 개설 이후 앱 및 솔루션 테스트를 위한 개인 개발자 및 중소기업의 이용건수가 하루 평균 6~7건으로 총 2천여건에 이른다.

LG유플러스는 “기기간의 통신을 매개로 하는 M2M은 향후 잠재 수요가 큰 분야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추진 중”이라며 “탈통신과 연계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사업 ‘스마트 크린 서비스’, LTE M2M 모듈 개발, 디지털 사이니즈의 무선화, 자동차 정보 종합 측정 솔루션(OBD) 첨단화, LTE 기반 M2M 차량관제 시스템 구축 등을 진행 중이다.

LG유플러스는 향후 기존 3G로 서비스되던 방범 시스템, ATM 장비 등 M2M 분야에도 LTE 솔루션을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유무선 통합서비스를 위한 API 연동을 지원하고 개발 검수, 망연동 테스트 등을 제공한다.

관련기사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는 상암사옥 2층에 80평 규모로 조성됐다. 개발자 공간뿐만 아니라 팀 단위로 쓸 수 있는 프로젝트룸 2실과 디바이스 개발룸이 마련돼 있고, 기존 2G 및 3G 단말과 LTE 모뎀 및 라우터, 듀얼모드 듀얼밴드(DMDB) 모듈 등 500여대의 단말을 갖추고 있다.

최차봉 LG유플러스 디바이스개발담당 상무는 “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는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위한 동반성장의 산실”이라며 “중소기업과의 공동 개발, 이종업계와의 제휴, 해외사업자 연계, 사업제안 사이트 운영 등 LTE 기반의 신규 사업기회를 적극 발굴하고 이에 대한 사업화 지원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IT 생태계의 상생협력 창구’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