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아와 영국 BBC, 마이크로소프트, 삼성 등이 TV주파수 대역 중 사용하지 않는 유휴전파수대역(White Space)을 활용해 실내 위치추적기술 구현을 앞두고 있다. 남는 TV주파수 대역을 스마트폰 등에 적용해 위치추적이나 인터넷 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씨넷은 27일(현시시간) 노키아를 포함한 17개 기업들이 공동으로 영국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에 유휴대역을 활용해 위치추적기술을 구현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남는 주파수 대역을 인터넷 기반 기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설명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유휴대역은 지역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특성이 우수하고, 도달거리가 길 뿐만 아니라 투과율이 좋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주로 전파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여분의 주파수로 사용돼왔다. 무선 마이크에도 이 대역을 사용했었다.

씨넷은 이들 기업이 위성항법장치(GPS)는 외부에서는 정확하게 작동하나 실내에서는 신호를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다며 유휴대역 주파수를 활용해 지도와 실내 위치서비스를 훨씬 쉽게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서도 재작년에 이러한 대역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했으나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기기를 만들지 못했다고 씨넷은 보도했다.
노키아 스콧 프로바스코 연구원은 스마트폰 노키아N9으로 유휴대역을 활용해 전시회마다 다른 내용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 기술은 아직 칩을 통해 구현되고 있지 않아 대형 휴대용 리시버를 USB를 통해 노키아N9과 연결했다.
연구원은 위치추적기술을 활용해 박물관을 방문한 관람객이 해당 위치 주변에 대한 멀티미디어콘텐츠를 기기를 통해 받을 수 있게 했다.
관련기사
- ‘와이파이 길어진다’…‘TV 유휴대역’ 실험 스타트2012.04.28
- 노키아 주력 N9 출하..."OS는 미고"2012.04.28
- 방통위, TV유휴대역 활용 방안 세미나2012.04.28
- "코로나, 中 실험실서 시작"…백악관 홈피까지 동원한 트럼프, 여론전 나선 까닭2025.04.20
그러나 씨넷은 아직까지 극복해야할 과제가 있다고 밝혔다. 먼저 유휴대역 주파수를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나라별 허가가 필요하고,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통해 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칩이 개발돼야하기 때문이다.
노키아 등 17개 기업들은 영국 외에 브라질, 싱가포르, 핀란드 등에서 이 기술을 시험테스트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