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점검]3D TV 전쟁 1년:①글로벌 교두보는 한국

일반입력 :2012/03/26 10:01    수정: 2012/03/26 16:26

송주영 기자

지난 해 봄 삼성전자의 한 고위급 임원이 LG디스플레이의 3D기술진에 대해 막말까지 해대며 기술논쟁을 벌이는 촌극을 벌인 적이 있었다. 이 상징적 사건은 글로벌 3D TV시장 선점을 위한 교두보로까지 여겨지는 한국고객 대상의 인증(?)을 받기 위한 헤게모니쟁탈전에 다름아니었다. 세계최대의 디스플레이 공급 양대산맥이 바로 그들이었기에 더욱더 설득력 있었다. 지난해 초까지 3D는 둔화되는 LCD TV 성장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유일한 대안인 동시에 미래였다. LCD TV 시장에서 LED 백라이트라는 구매 동기 부여가 매력을 잃어가던 시점에 3D TV는 소비자들을 유혹할 만한 마케팅 수단으로 3D TV 제조업체가 주목할 만했다. 감정싸움의 소모전으로 치달은 채 결론을 짓지 못하고 서둘러 봉합한 이 3D TV 디스플레이 논쟁이후 1년이 지났다. 이제 삼성, LG는 앞으로 각기 이들이 강점을 갖는 셔터글라스, 편광필름이 공존하는 평화의 시대를 전망하고 있다. 삼성과 LG로 대변되는 세계 3D디스플레이의 현황과 미래를 ▲내수시장이 글로벌 교두보 ▲ LG디스플레이의 역습 ▲3D기술의 미래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편집자>

2009년 12월. 3D 역사의 한 획을 그은 영화 아바타가 전세계에서 동시에 개봉됐다. 그동안 3D화면이라고 해야 아이맥스가 거의 전부였던 전세계 관객들은 충격적인 화면에 열광했다. 비로소 리얼한 3D화면의 시대가 열린 듯 했다. 이후 전세계에 3D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2010년 초 3D기술이 화두로 등장한데 이어 2010년 월드컵을 계기로 공중파 3D 방송이 시작되면서 국내에서도 비로소 안방 3DTV혁명의 시대가 열리는가 싶었다.

■LGD, 중국 신제품 발표회 경쟁의 서막

시장 확대조짐이 보이지 세계 TV 업계의 양대 산맥인 삼성, LG의 경쟁도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2010년까지 동일한 셔터글라스(SG) 방식으로 경쟁하던 삼성, LG전자의 경쟁양상엔 차이가 없었다. 변화는 LG전자가 LG디스플레이의 편광필름방식(FPR) 3D디스플레이를 내놓으면서부터 시작됐다. 이를 계기로 LG전자가 FPR방식의 3D TV를 출시하면서 가전 시장의 헤게모니 확보를 위한 공방전은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2010년 말 LG디스플레이는 FPR 3D 패널을 개발하고 시장을 파고들기 시작했다. 중국에서였다. 이 시기까지만 해도 양사의 경쟁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당시까지만 해도 3D TV 시장 대세는 삼성전자, 소니였다. 2010년 4분기 기준 SG방식 대표 주자였던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35.3%, 소니는 33.7%다. 양사의 3D TV 시장 점유율을 합하면 69%에 달했다. LG전자 역시 이 시기까지는 3D TV로 SG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양사의 자존심 경쟁은 지난 해 LG전자가 LG디스플레이의 FPR을 채택한 3D TV를 선보인 라스베이거스가전쇼)CES)에서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FPR 방식은 필름과 필름 사이에 액정을 삽입하는 고도의 기술을 요구한다. 기존 셔터글러스 방식 대비 화면이 50% 이상 밝으면서도 어지럼증 등 눈에 주는 자극이 현저히 줄어든다.

CES2011에서 권희원 LG전자 사장(당시 부사장)은 삼성의 SG를 겨냥해 이처럼 직설적인 상대편 깎아내리기도 서슴지 않았다.

삼성전자는 후발주자의 도발에 발끈했다.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은 CES 행사장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FPR방식이 가격이나 화질면에서 뒤떨어진다며 셔터글라스 방식이 더 우수한 기술이라고 맞받았다.

SG와 FPR은 장단점이 뚜렷한 만큼 경쟁이 더욱 치열했다. SG는 번갈아 나오는 영상을 안경이 빠른 속도로 읽어 3D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고해상도 패널 구현, 제조비용이 저렴하다는 강점이 있다. 반면 안경이 비싸고 무거우며 깜박거림 현상이 지적됐다.

FPR은 SG와는 달리 3D 화면을 안경이 아닌 패널에서 구현한다. 편광필름을 붙여 화면에서 왼쪽 눈, 오른쪽 눈 두 가지 영상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고해상도 패널 구현에는 한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가볍고 저렴한 안경이 강점이다. 깜박거림도 적다는 것이 FPR쪽 주장이다.

소비자들은 삼성전자가 주장하는 능동형화면의 고해상도 장점을 살리기 위해 SG방식으로 알려진 전자식 안경을 써야 하는지, 아이맥스영화관에서 보듯 일반3D안경을 쓰는 게 좋은지 어리둥절해 할 수 밖에 없었다. 2008년 제품을 출시한 삼성, 2009년 가세한 LG전자의 3D TV 경쟁의 서막은 이렇게 시작됐다.

■제품별 장단점 부각…경쟁 치열

FPR과 SG는 구현 방식, 장단점이 뚜렷한 만큼 각 진영은 기술적 우위를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다. 싸움에서 패하면 앞으로 다가올 3D TV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힘들다는 위기의식이었다. 양사는 논쟁에 사활을 걸었다.

양사의 논쟁은 CES 이후 더 거세졌다. 권희원 LG전자 사장은 CES 이후 우리나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도 3D TV 1세대는 SG 방식이고, 2세대는 FPR 방식이다면서 무안경이 결국 3세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G와 무안경 방식을 잇는 차세대 교두보가 FPR, 바로 LG의 제품이라는 의미였다.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도 맞섰다. FPR 방식은 1935년 처음 개발됐지만 성능은 과거보다 못하다면서 이를 두고 차세대라고 하니 이해할 수 없다고 내둘렀다.

양사의 감정싸움은 결국 극으로 치달았다. 삼성전자 김현석 부사장(당시 전무)이 방점을 찍었다. 김 부사장은 LG디스플레이 개발자를 가리켜 “멍청한 사람들”이라는 발언까지 했다. 이 발언은 한 때 법정공방으로까지 번질 뻔 했다.

권영수 당시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진화에 나섰다. 권 사장은 김현석 부사장의 말 이후 3D TV 기술 설명회에서 소비자들에게 부끄럽다. 이 자리 계기로 진흙탕 싸움이 조기종결 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밝혔다.

■감정싸움 3개월, LG 광고로 도발

권영수 사장의 발언 이후 3개월간 지속된 양사의 언쟁은 중단됐지만 삼성, LG의 공방은 시간이 지나면서 지역별 시장점유율 비교 경쟁으로 이어졌다.

시장점유율 비교 경쟁에는 LG전자를 대신해 LG디스플레이가 나섰다. LG디스플레이가 중국FPR 패널 출시 발표때부터 우방으로 확보한 현지 TV 6개 업체가 이 지역 시장 점유율을 쑥쑥 올리는데 일조했다.

중국에서의 FPR 바람이 무서웠다. 시장조사업체 올뷰컨설팅에 따르면 FPR은 패널 출시 6개월만에 초기 시장 점유율 5%에서 50%로 껑충 뛰었다. LG디스플레이가 중국에서 점유율을 올리는 동안 북미, 유럽 지역에서는 삼성전자가 글로벌 TV 시장 1위업체답게 이 시장에서 SG의 맹위를 떨치고 있었다. SG는 이 지역에서 꾸준한 점유율로 절반 이상의 시장을 차지했다.

삼성전자의 북미, 유럽지역 3D TV 시장 강세 속에 LG전자는 이들 국가에서 비교 광고를 실었다. 우리나라에서의 LG전자 3D TV 광고는 ‘하늘과 땅 차이’ 정도로 직접적인 비교 없이 비교적 점잖았지만 미국 등에서는 달랐다.

LG전자는 이 지역에서 “무거운 안경이 왜 필요한가”, “삼성과 소니는 2D에 집중하라”는 내용으로 더 삼성전자를 도발했다. LG전자의 공격 마케팅 속에 삼성전자는 3D TV 전략을 바꾸고 있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3D 패널보다는 3D 기능에 콘텐츠를 부가한 스마트 TV를 강조하는 쪽으로 전략 중심을 이동했다. 이를 계기로 3D논재엥 무대응으로 나서면서 3D TV 기술 논란은 잠잠해졌다.

관련기사

이 모든 논란과 분쟁을 가져온 3D논쟁은 사실 세계 IT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테스트베드가 된 한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두 회사의 고객 끌어들이기에 다름아니었다.

그리고 소비자는 조용하기만 했던 지난 1년간의 3D디스플레이 휴전 기간 중에 보이지 않는 그러나 정말 무서운 결정을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