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종 게임물등급위원장 “업계와 소통할 것”

일반입력 :2012/03/01 13:00    수정: 2012/03/01 14:00

전하나 기자

“게임업계와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겠습니다.”

백화종 신임 게임물등급위원장이 첫번째 미션으로 업계와의 소통을 꼽았다. 올해 게임물 등급분류 민간 이관을 앞둔 상황에서 게임위가 먼저 손을 내밀겠다는 것이다.

백 위원장은 지난 28일 기자들과 만나 “게임위는 정부와 국회가 정하는대로 등급분류 업무 이양에 적극 협조해 게임산업의 성장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업계도 민간 이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하고 최소화하기 위해 게임위의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을 거라 본다”면서 “지금은 업계와 게임위가 양쪽의 필요에 의해서 머리를 맞대고 슬기로운 대처방안을 모색할 때”라고 했다.

그는 게임 분야 비전문가인 탓에 불거진 자질 논란에 대해서도 일축했다. 백 위원장은 자신이 게임에 대해 전문적인 식견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단순히 게임 자체를 잘 안다는 것 뿐 아니라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게임업계 의견을 원만하게 수렴해 나가면서 일하는 것 또한 게임을 이해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최근 존립기반을 위협받고 있는 게임위 처지도 역설했다. 백 위원장은 “게임위 역할에 대해 현재 국회와 관계 당국간에도 이견이 있고 여론 또한 한 방향이 아닌 것 같다”며 “게임위를 두고 한쪽에선 전제군주라고 비판하고 한쪽에선 유명무실해졌다고 평가한다”고 토로했다.

관련기사

특히 당장 닥쳐올 등급분류 민간 이양이라는 변화가 위원회의 기능 조정과 인력 재배치를 수반하게 되는 문제도 언급했다. 이에 그는 “조직원들이 생존권 위협을 느끼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을 중대한 책무라고 생각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올해 말로 끝나는 국고 지원에 대해선 낙관론적인 입장을 보였다. 백 위원장은 “심의기능 일부가 축소되더라도 사후관리자 등 게임위의 역할은 분명히 있다”며 “이를 제대로 설명하면 국회를 충분히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국고지원 연장건 관련해) 이미 문화부와도 협의에 들어간 상태”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