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시스템반도체·LED·태양광 등 신시장 확대"

일반입력 :2012/02/20 20:13

손경호 기자

정부가 지난 2009년부터 올해까지 추진 중인 시스템반도체·발광다이오드(LED) 조명·태양광 등 신성장동력 육성정책을 통해 앞으로는 시장확대를 통해 본격적인 산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지식경제부는 20일 서울 반포동 JW메리어트 호텔에서 홍석우 장관 등 정부관계자와 신성장동력 기업 대표 10여명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향후 방침을 밝히고, 기업 관계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이날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조선·반도체·자동차산업 등 있어서 오늘날 무역 1조달러 달성했다”며 “앞으로 2조달러 시대로 가기 위해 소프트웨어·태양광·LED·전기차 등 새로운 신성장동력산업을 육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3년간 LED·태양광 등 집중 투자

정부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신성장동력 분야에는 총 62조원이 투자됐다. 이 중 지난해 기준으로 LED·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가 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IT융합(24%), 방송통신융합(1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 중 가장 많은 시장 확대를 이뤘다고 보는 분야는 LED와 로봇 분야로 LED TV의 백라이트유닛(BLU)은 2009년 생산규모로 4위에서 재작년에 2위로 부상했다고 밝혔다. 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청소 로봇 수요 확대로 재작년에 전년대비 75% 성장한 1조8천억원을 기록했다고 정부는 추산했다.

태양광과 2차 전지 역시 수출이 대폭 늘어났다고 정부는 밝혔다. 태양광은 2007년 1억4천만달러에서 재작년에 37억4천만달러를 수출했으며, 2차 전지도 LG화학이 재작년 GM에 공급한 이후 작년에 르노에 전기차·하이브리드카용 2차 전지를 공급 중이다.

■시스템반도체 수요난항, LED·태양광은 보급률 미미

그러나 정부는 시장을 확대하는데는 여전히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시스템반도체는 글로벌 수요업체들이 있는데도 생태계를 구성하는 설계·생산·장비기업과 완제품을 제조하는 수요기업들 간에 유기적인 협력이 부족했다고 밝혔다.

또한 LED·태양광 등은 시장규모는 증가했으나 여전히 높은 가격으로 인해 보급률이 미약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LED조명의 보급률은 2%~3%에 불과한 수준이며 태양광 역시 최근 과잉투자와 중국의 저가 공세로 투자속도를 조절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RPS)제도를 상향 조정해 올해 2%인 의무화 비율은 10년 뒤 10%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LED조명 보급을 위해 올해는 지난해 보다 50% 이상 증가한 478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시스템반도체는 중국 등 해외 거점 지역에 플랫폼 센터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올해 30억원의 예산을 들여 ZTE·화웨이 등 중국 세트기업들이 몰려있는 심천 지역에 시스템반도체 플랫폼 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LED 등에서 해외 의존도가 높은 장비의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올해 275억원의 예산을 투자한다.

이에 더해 기가비트급 차세대 무선통신환경을 위해 내년부터 2019년까지 범부처 대형 R&D를 추진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차세대 기술 중심의 연구개발을 확대한다.

■업계 관계자들 시장 확대 한 목소리

이날 간담회에는 김균섭 신성솔라 부회장(태양광), 김정호 로보스타 사장(로봇), 김상옥 유양디앤유 사장(LED), 박희재 에스엔유프리시전 사장(OLED장비개발)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태양광 분야에서 김균섭 신성 솔라 부회장은 지난해 세계 시장규모가 28기가와트(GW)로 원전 28기와 맞먹는 수준으로 성장했으나 중국기업이 60%~70% 점유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올해 RPS제도의 할당량인 220MW를 상반기 중에 집행해 줄 것을 건의했다.

정부에 따르면 LED의 경우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면서 중견기업들이 성장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점과 LED 등 융복합제품의 인증절차가 복잡해 간소화할 필요성 있다고 김상옥 사장은 간담회에서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