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닉스 CPU 독자개발 '득인가, 실인가'

일반입력 :2012/01/10 10:47    수정: 2012/01/10 10:50

‘유닉스 CPU를 독자개발하는 것이 득일까, 실일까?’

HP가 1994년 RISC 개발중단하고, VLIW-64 개발을 인텔에 맡긴 후 십수년째 서버 업계를 오가는 질문이다. CPU 독자개발을 고집하는 입장과 외주생산을 택한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올해는 CPU 논쟁이 어느때보다 치열할 전망이다.

세계 유닉스 CPU 개발회사는 IBM, 오라클-후지쯔, 인텔 등 3곳이다. 이 중 IBM·오라클이 CPU를 직접 개발하고, 유닉스 서버 완제품으로 판매한다. HP는 인텔의 CPU를 공급받아 서버 완제품을 제작한다.

현재 유닉스 시장의 구도는 IBM과 HP의 양강구도가 공고하다. 두 회사의 국내 유닉스 서버시장 점유율은 90%에 달할 정도다. 나머지를 오라클(옛 썬마이크로시스템즈)이 차지한다.

IBM, HP, 오라클 순의 유닉스 시장은 CPU업데이트 시점마다 논쟁이 들끓는다. 파워7과 아이태니엄 투퀼라의 출시 시점이 맞물렸던 2010년은 치열했다. 여기에 재정비를 마친 오라클까지 참여해 올해는 3사의 CPU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IBM ‘파워7+’, 오라클-후지쯔 ‘M4’·‘T5', 인텔 아이태니엄 ‘폴슨’ 등의 공개가 올해로 예정됐다.

CPU 논쟁은 모두 단일 지점으로 모인다. 각자의 CPU가 가장 뛰어나다는 것이다. 이어지는 메시지도 같다. CPU가 서버 제품의 전부일 수 없다는 것. CPU를 비롯한 모든 구성요소의 최적화를 강조한다.

차이점은 접근방법에서 나온다. 비용과 개발부담을 줄이고 여력을 다른 곳에 집중하느냐, 완제품의 출발점인 CPU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전 영역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느냐다. 각사의 입장은 평행선이다.

■‘CPU-OS-애플리케이션’ 시작부터 최적화

유닉스 CPU를 가장 오랜 시간 개발한 회사는 현재로선 IBM이다. IBM은 메인프레임과 함께 파워CPU 개발을 고수하고 있다. HP의 인텔 아이태니엄 채택을 가장 강도높게 비난하는 곳도 IBM이다. IBM은 아이태니엄을 유닉스를 고려하지 않은 CPU라며 평가절하한다.

채준원 한국IBM 시스템테크놀로지그룹(STG) 파워시스템사업본부장은 “얼마나 높은 성능을 내는 CPU를 개발하느냐가 아니라 업무에 적합한 CPU를 만드는가를 봐야한다”라며 “IBM은 개발부터 어떤 업무에 쓰이느냐를 고려해 CPU를 만들어낸다”라고 말했다.

그는 “CPU 성능이 서버의 전체를 좌우하지 않는다”라며 “CPU,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합적으로 개발해야 전체 성능을 최대로 끌어낼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IBM의 CPU개발은 SW 테스트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OS부터 시스템 SW을 최적화할 뿐 아니라, 데이터베이스(DB)·웹애플리케이션서버(WAS)·데이터웨어하우징(DW) 등 각 응용애플리케이션의 업무환경에 맞는 성능 극대화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IBM이 줄기차게 강조하는 워크로드 최적화는 여기서 비롯된다.

CPU 개발은 매년 수조원을 들여야 하는 작업이다. IBM은 CPU에 국한된 비용을 밝히지 않지만, 연간 60억(6조8천억원)달러인 R&D 비용 중 상당부분이 CPU의 몫이다.

아무리 많은 비용을 들이더라도 성능을 극대화해 고객 가치를 높일 수 있다면, 비용부담을 감수한다는 게 IBM의 생각이다.

채준원 본부장은 “인텔의 아이태니엄은 SW는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고, HP는 응용SW를 갖고 있지 않다”라며 “CPU부터 애플리케이션까지 모두 최적화하는 IBM의 파워시스템이 HP 제품보다 3배 높은 성능을 보이는 건 당영한 결과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CPU 개발 주도권은 IBM의 고민이기도 해보인다. IBM이 당초 공개했던 CPU 개발 로드맵에 따르면, 작년말 파워7+가 나왔어야 했다. IBM은 현재 파워7+의 공개시기를 올해말로 예상하고 있다. 이점이 업계의 의구심을 나으며, 경쟁사가 공격할 빌미를 제공한다.

■CPU는 맡기고, 아키텍처에 집중한다

HP는 2001년 인텔 아이태니엄 CPU 개발 공동투자를 결정한다. CPU 개발을 포기한 것은 1994년이었다. 이후 HP의 유닉스는 인텔에서 개발한 범용 CPU에 기반해 제작됐다.

인텔의 아이태니엄은 원칙적으로 HP 외 어떤 기업이든 사용할 수 있는 칩이다. 때문에 HP서버 전용이라 부르기에 무리가 있다. HP는 이를 들어 자사의 유닉스 서버를 오픈 시스템이라 부른다.

HP는 CPU 개발을 포기한 대신 전체적인 제품 디자인에 집중했다. CPU외 타 부품을 조합할 때 CPU성능 이외의 기능을 연구하는 것으로 전체 제품의 성능을 끌어올린다. HP의 유닉스 OS인 HP-UX는 아이태니엄 아키텍처가 가진 여러 특징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기능을 추가했다.

2010년 HP은 유닉스 서버 아키텍처를 랙형에서 모듈형으로 교체했다. 컨버지드 인프라를 도입한다는 차원이었다. 블레이드 시스템을 인클로저에 끼워 성능과 용량을 높이는 확장방식이다. CPU 이외의 부분인 입출력(I/O) 기능을 개선하고,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집어넣었다.

이창훈 한국HP BCS팀 부장은 “인텔에게 CPU를 맡김으로써 HP는 개발비용을 전체 제품 아키텍처에 집중할 수 있다”라며 “서버가 실제 업무환경에 쓰일 때 CPU성능보다 I/O관리나 발열 등의 부분에서 성능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더 많다”라고 말했다.

이 부장은 “모듈러 아키텍처는 현재 IT업계의 트렌드로서, 상면비용과 데이터센터 냉각비용을 줄이고, OLTP와 OLAP 환경 모두에서 우월한 성능치를 보이는 기술이다”라며 “지난해 한국HP의 BCS사업이 전년대비 600% 성장한 것은 고객들이 모듈러 아키텍처를 선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는 수조원 규모를 투입하는 IBM이 CPU개발 외에 제품 전반의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IBM의 파워7시스템제품의 박스는 파워5시절의 것과 동일하다.

그는 “실제 고객이 IBM서버를 구매한 뒤 서버외 부가 비용이 더 커지는 경우가 허다하다”라며 “파워7+가 제때에 나오지 못해 IBM의 CPU 로드맵에 의구심을 보내는 업계의 시선이 팽배해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