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SNS 사업 '출사표'

한국형 트위터 ‘와글’ · 위치기반 SNS ‘플레이스북’ 선보여

일반입력 :2011/01/13 10:00    수정: 2011/01/13 10:14

정현정 기자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2종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내놓으며 SNS 사업에 진출한다.

LG유플러스(대표 이상철)는 13일 광화문 세안프라자에서 간담회를 갖고 한국형 트위터 ‘와글(Wagle)’과 위치 기반 SNS ‘플레이스북(Placebook)’을 출시하고 SNS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지난 11월 페이스북과 SNS에 대한 포괄적 협력을 맺고 공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탈통신’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주목해 온 LG유플러스는 국내 통신사업자 중 처음으로 독자적인 SNS ‘와글’과 ‘플레이스북’을 개발해 출시하고 SNS 사업에 본격 진출하게 됐다.

휴대폰 주소록을 기반으로 한 한국형 트위터인 ‘와글’은 서비스 가입 즉시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들과 자동으로 관계를 맺고 이를 바탕으로 점차 인맥을 확장하는 구조다.

트위터의 글이 모든 사람에게 공개되는 반면 ‘와글’은 정보성 글과 사적인 글에 따라 그룹별로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 있어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그룹간 소통에 강점이 있다. 무료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어 위치와 관심사에 따라 다양하게 인맥 확장이 가능하다.

LG유플러스는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글로벌 SNS와의 협력과 경쟁 속에서 ‘와글’을 한국인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가는 한편, 오픈 플랫폼화하여 지인 중심의 사진·동영상 공유 등 다양한 SNS로 진화해 나갈 계획이다.

‘와글’은 현재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서 베타 버전 형태로 제공되며, 애플 앱스토어과 안드로이드 마켓, OZ스토어, T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회원 가입 후 사용 가능하다.

‘플레이스북’은 장소를 중심으로 내 기록을 남기고 지인들과 이야기를 주고 받을수 있는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다.

맛집·카페·영화관·쇼핑몰 등 주변 지역 정보를 지도와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맛집 리뷰·쇼핑몰 세일 정보 등 다른 사용자들이 남긴 리뷰를 조회하고 친구들의 관심 지역을 탐색해 댓글과 쪽지를 주고 받는 등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특히 ‘플레이스북’은 자주 방문하는 장소에 발자취를 남기는 ‘첵(check)하기’ 기능을 삽입해 해당 장소를 가장 많이 방문한 순서대로 유저들에게 금·은·동메달을 부여한다. ‘첵하기’ 활동을 통해 사용자들은 메달을 따기 위해 친구들과 경쟁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 ‘패션 리더들이 선택한 핫플레이스’, ‘공짜로 주차할 수 있는 곳’, ‘지름신이 강림하는 곳’, ‘길가다 화장실이 급할 때’ 등 다양한 테마별 지역 정보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플레이스북’을 통해 초기에는 차별화된 지역 정보로 사용자들을 확보하고 점차 사용자들 스스로 주변 POI(Point of Interesting)에 대한 정보를 올리고 지인들과 공유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자발적인 SNS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플레이스북은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애플 앱스토어과 안드로이드 마켓, OZ스토어, 올레마켓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회원 가입 후 사용 가능하다.

관련기사

LG유플러스는 오픈 플랫폼을 통한 SNS 시장 공략을 주된 전략으로 통신사와 관계없이 ‘와글’과 ‘플레이스북’ 앱을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게 해 올해 본격적으로 펼쳐질 네트워크와 단말기에 얽매이지 않는 서비스 경쟁의 시발점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산구 LG유플러스 라이프웹(Life Web) 사업부 상무는 “이번 SNS 출시는 5천만 고객에게 ‘웹 그 자체가 곧 삶이 되는 라이프 웹(Life Web)’ 시대를 열어 주는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LG유플러스는 향후 SNS, 위치, 커머스, 통신을 연계한 오픈 플랫폼 사업을 통해 라이프 웹 생태계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