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F2010]"아이패드 3G와 와이파이 버전은 개발 환경 달라"

일반입력 :2010/12/09 16:58

같은 아이패드라도 사실 와이파이 전용 모델과 3G모델은 사용성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별개 플랫폼으로 봐야 한다. 단순히 시장점유율로 판단해서 접근하면 안 된다.

태블릿 단말기 시장에서 아이패드가 95%점유율을 차지하면서 높은 시장기회로 주목받는 가운데,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개발할 경우 하드웨어 구성은 큰 차이를 낳는다는 주장이 나왔다. 개발자들은 같은 아이패드용 애플리케이션이라도 무선랜이냐 3G모델이냐에 따라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얘기다.

9일 열린 코리아 개발자 컨퍼런스(KDF)2010에 참석한 다음커뮤니케이션 임강석 팀장은 와이파이와 3G 통신망을 사용하는 경험은 네트워크 성격뿐 아니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달라진다고 말했다. 단 게임이나 전자책같이 오프라인에 데이터가 모두 들어있는 콘텐츠를 예외라고 언급했다.그는 같은 이유로 아이팟터치와 아이폰도 완전히 다른 단말기라고 설명했다. 아이팟터치는 아이폰에서 쓸 수 있는 3G통신망을 못쓸 뿐 아니라 GPS가 없다. 아이폰은 통신망 기지국, 위성과 연결해 위치정보를 받아오지만 아이팟터치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AP)의 정보에 의존해 부정확하고 인식속도도 떨어진다. 위치기반서비스(LBS)에 대한 접근성이 확연히 달라지는 이유다.

임 팀장은 내장 구글지도에 대한 접근성을 단적인 예로 들어 아이팟터치에 GPS가 없기 때문에 사용성이 엄청나게 차이나는데 이는 단순히 있고 없고 문제가 아니다라며 LBS 앱을 개발시 아이팟터치를 배제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임 팀장은 '아이폰부터 아이패드까지'라는 제목으로 아이패드용 애플리케이션 시장의 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내놨다. 아이패드가 국내 출시된지 1개월밖에 안 됐지만 빠른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큰 화면이란 특징으로 교육용 콘텐츠 시장,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단기적으로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주류를 이루겠지만 장기적으로 HTML5 기반 웹애플리케이션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iOS가 버전 업그레이드를 거듭하면서 버그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등 버전별 차이와 지원 단말기 차이, 아이폰4와 아이팟터치3세대에 탑재한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개발자들에게 플랫폼 단편화(fragmentation)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이다.

임 팀장은 아직 HTML5기반 웹애플리케이션은 처리 성능과 속도 문제가 있다면서도 속도가 우선이라면 네이티브앱을 우선지원하되 여러 하드웨어를 꾸준히 지원하기 위해서는 HTML5 기반으로 바꿔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