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액센츄어, 국내기업 녹색정보화 측정결과 공개

일반입력 :2010/11/17 14:47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액센츄어코리아(대표 이진)가 국내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녹색정보화 수준을 진단한 결과 세계평균치와 같은 5점 만점에 평균 2.4점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다만 이는 3.3점대를 기록한 글로벌 선도 기업 보다는 0.9점 낮은 점수다.

영역별로 볼 때 데이터센터와 업무방식이 모두 2.7점으로 글로벌 평균보다 약간 높고, 사무환경이 2.3점, 조달부문이 1.9점으로 낮았다. 업종별로는 물류/유통과 석유/화학 업종이 2.8점(평균 2.4점)으로 가장 높은 성숙도를 보였으며 공사/공공기관이 1.7점(평균 2.2점), 유틸리티/건설 업종이 1.8점(평균 2.8점)으로 글로벌평균보다 낮게 평가됐다.

NIA와 액센츄어코리아는 지난 3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국내 기업 녹색정보화 수준을 측정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시범 적용 대상인 국내기업 50곳을 연구해 이번 '국내 기업의 녹색정보화 수준 진단 및 개선 전략' 보고서를 내놓은 것이다. 녹색정보화 성숙도를 기업 업무방식, 조달, 사회적 책임, 사무환경, 데이터센터 등 5개 영역과 물류유통, 제조 등 업종별로 분석해 2천여 글로벌 기업 연구자료와 비교했다. 참여 기업에게는 세부 진단결과와 함께 기업 특성에 맞는 개선 과제 및 세부 실천방안을 담은 개별 컨설팅 리포트도 제공했다.

NIA는 세계적으로 녹색성장을 위한 IT 중요성이 강조돼 정부와 기업들이 그린 IT 도입을 촉진하고 활성화할 방안으로 녹색정보화 수준 측정에 관심이 집중됐다고 밝혔다. 이미 영국, 호주 등은 공공부문과 민간영역 녹색정보화 성숙도를 분석해 내놓고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김성태 NIA 원장은 “NIA와 액센츄어가 공동 개발한 녹색정보화 수준 진단 모델은 조직 활동 전반에 걸친 친환경성을 분석해 개선을 위한 실행과제와 계획을 제공한다"며 "향후 녹색경영 추진을 위한 지침과 관리 방안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국내 기업의 녹색정보화 수준 진단 및 개선 전략’ 보고서는 NIA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