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시중 위원장, “2014년 ITU 전권회의 한국 유치 희망”

일반입력 :2010/10/05 10:25

“정보통신이 단순한 기술의 진보를 넘어 인류문화 진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ITU와 국제사회가 적극 노력해야 하며, 대한민국도 이러한 노력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2014년 ITU 전권회의를 한국이 유치하기를 희망한다.”

4일(현지시각)부터 멕시코 과달라하라에서 개최되고 있는 ITU 전권회의에 참석 중인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첫 번째 정책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ITU 전권회의 유치 희망 의사를 강하게 피력했다.

ITU 전권회의는 4년마다 개최되는 정보통신 분야의 최고 정책결정회의로서, 아시아권에서는 1994년에 일본이 쿄토에서 개최한 것을 빼고 개최실적이 전무하다.

우리나라가 전권회의를 유치할 경우 ICT 강국으로서의 영향력 확대뿐만 아니라, 참가자만 2천500명에 이르는 대규모 국제회의 유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기대된다.

방통위 관계자는 “보통 개회식으로부터 3일에 걸쳐 진행되는 정책연설에서 최시중 방통위원장이 첫 번째 연사로 연설하게 된 것은 2014년 ITU 전권회의를 유치하고자 하는 한국의 중요성과 ITU 내에서의 한국의 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이 ITU 전권회의 개최국으로 결정되면, 스포츠 분야의 1988년 서울 올림픽, 2002년 한일 월드컵에 이어 ICT 분야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국제회의를 유치하는 셈이다.

이날 최시중 위원장의 정책연설에 이어 페르난도 보르혼 피게로아 전권회의 의장은 “향후 4년간 ITU 운용계획을 담는 ‘결의 77’에 차기 전권회의 개최지를 대한민국으로 명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언급해 현재로써는 한국의 유치 전망이 밝은 상태다.

우리나라의 2014년 전권회의 유치는 이번 멕시코 전권회의 마지막 주에 회원국들의 동의를 통해 확정될 전망이며, ITU 이사국 6선 진출 여부는 10월 둘째 주에 회원국들의 투표를 통해서 결정된다.

한편, 최시중 위원장은 정책연설에서 한국이 향후 4년간 ITU 이사국 선출 선거에 입후보하였음을 알리고 회원국들의 지지를 요청했다.

한국은 1989년 이후 연속 5회 ITU 이사국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번 전권회의를 통해 이사국 6회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