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DB 활용, 수요자 중심 시스템 전환 필요"

일반입력 :2010/01/19 16:47

그동안 구축된 국가DB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요자 중심으로 정보를 통합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보화산업이 부처간 개별적으로 추진된데 따른 비효율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정보화전략실무위원회(정보화실무위)는 19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국가DB포럼 창립총회 및 공공정보활용전략컨퍼런스' 기조연설을 통해 공공DB에 대한 상호 운용성을 강화해 활용을 늘릴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이철수 정보화실무위원장은 "국가정보화사업은 정부효율화와 대국민정보화를 목표로 추진했지만 그동안 정권교체와 함께 전망, 목표, 사업과제, 캐치프레이즈 등이 빈번하게 바뀌었다"면서 "정권이 바뀌더라도 중장기목표에 따른 일관성있는 정보화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보화실무위는 연결, 공유, 협업을 중시하는 정보자원활용환경 '지식인프라' 구축을 위해 행정정보공동이용체계, 국가지식포털, 공간정보체계, G4B 등 국내정보화현황을 분석하고 시스템 개요와 목적, 데이터 및 서비스측면에서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인프라 구축을 위해 광대역네트워크, 그리드컴퓨팅, 시맨틱웹, 매시업 등 다양한 기술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철수 위원장은 이날 컨퍼런스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해외 선진 사레로 미국 과학연구단체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인프라스트럭처'와 유럽연합 'e 인프라스트럭처'를 꼽았다. 기업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아마존 가상화 서비스와 웹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 '구글 앱 엔진(GAE)'도 언급했다.

관련기사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국가DB포럼이 주관한 이번 컨퍼런스는 국가DB의 민간 활용이 부족하고 DB품질 제고 및 신기술 적용 이슈 등에 대응하기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지난 99년부터 올해까지 총 7천4백억원 이상을 들여 국가DB를 구축해왔다. 국가DB구축사업은 김영삼 정부가 IMF사태 이후 마련한 '정보화근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민간 및 학술자료를 갖춘 지식정보DB와 공공기관에서 생산되는 행정정보DB 통합을 목표로 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