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DDoS 대응체계 연내 구축…200억 투자

일반입력 :2009/10/11 13:42

송주영 기자

행정안전부는 국가의 주요정보통신시설과 전자정부서비스를 관리하는 132개 행정·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연내 DDoS 대응체계를 긴급 구축키로 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이 사업에는 약 200억원이 투자된다.

이번 사업은 지난 7.7 DDoS 공격에서와 같이 DDoS 대응체계가 없을 경우 인터넷서비스가 마비되는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추진된다. 지난달 당·정협의를 거쳐 확정된 ‘국가사이버위기 종합대책’에 대한 후속조치 일환이다.

이번 사업은 교육·과학분야 35개 기관(45억원), 경제분야 36개 기관(35억원), 사회분야 20개 기관(25억원), 경찰분야 23개 기관(38억원), 16개 시·도(57억원) 등 5개의 분야로 구분돼 추진된다.

총 200억 원이 투입되며 이번달 내 분야별 사업자를 선정, 12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DDoS 대응체계는 교육, 과학, 에너지, 보건의료, 경찰, 특허, 관세, 방위산업, 국회, 국방, 국토해양, 시·도 등 12개 보안관제센터를 중심으로 구축된다. 대상기관은 관세청,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다.

행안부는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국가의 중요한 17개 분야 보안관제센터 대부분이 DDoS 대응체계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1천461개 전자정부서비스 중 1천381개(약 94.5%)의 서비스가 DDoS 공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현재 금융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증권선물거래소, 코스콤 등 금융기관에 대한 DDoS 대응체계도 연내 구축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번 사업에 포함되지 않은 중앙부처 일부 소속기관과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내년 중에 기관별로 추가 구축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서 도입되는 장비는 DDoS 공격 대응 전용장비 198대와 DDoS 공격을 사전에 탐지하는 장비 42대, 좀비PC 탐지장비 52대, 네트워크 유해트래픽 제어장비 41대 등 총 593대다. 행정·공공기관에 대한 무차별적 DDoS 공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