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IFRS컨설팅 비용 부담된다"

일반입력 :2009/03/13 11:26    수정: 2009/03/13 13:39

송주영 기자

은행권 IFRS(국제회계기준관리) 컨설팅 사업자 선정이 모두 마무리되면서 이제 2금융권과 다른 상장사로 경쟁의 무게중심이 넘어가고 있다. 

이 가운데 IFRS 컨설팅이 '빅4' 회계법인을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컨설팅 비용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IFRS 도입 유예, IFRS 컨설팅 능력이 있는 회계법인 육성 등을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1단계 컨설팅이 수십억원의 비용을 집행하는 수준에서 완료됐다면 2단계는 100억원을 훨씬 넘는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1, 2금융권의 IFRS 적용 시기가 같다는 점에서 사업자 선택의 폭도 좁아져 비용 증가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비용부담은 시중은행보다도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지방은행이나 2금융권에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전망이다.

한 금융기관 관계자는 "1단계 컨설팅은 개념 정립 정도로 수십억 정도의 프로젝트 비용이 소요되나 2단계는 각 금융기관별 회계 프로세스 정립, 전산개발 설계 등에 수백억원이 소요된다"며 "다른 컨설팅 프로젝트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비용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이는 다양한 요인이 있으나 빅4 회계법인에 치중된 시장 구조도 한 몫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소회계법인들이 IFRS 시장에 참여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관련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인 것. 한국형 IFRS 제도인 K-IFRS가 100% 적용된 공인회계사 시험은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후 IFRS 회계 전문 인력이 본격 양성될 전망이다.

금융기관의 불만은 IFRS 컨설팅 시장이 시스템 개발이 완료된 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기관은 2011년 적용에 맞춰 올해안에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개발이 완료된 이후에도 사후관리를 위한 컨설팅 시장이 다시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IFRS에선 새로운 회계기준에 맞춰 회계처리가 이뤄지고 있는지를 감리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만큼 관련기관, 기업은 3차에 걸친 컨설팅으로 인한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IFRS 도입은 세계적인 추세로 투명성 담보를 위해서라도 도입 시기를 미룰 수 없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

비용부담이 늘어나자 금융기관은 협의회를 만들어 대응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금융기관은 최근 은행연합회에서 전산시스템 구축 개발비용을 포함한 IFRS 대응을 위해 이번달 초 은행연합회에서 IFRS 공동대응 세미나를 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