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납품 중단 재현될까…식품사 "예의주시"

새 주인 찾기 난항…식품업계 "물량 조절하며 제한적 납품"

유통입력 :2025/11/28 15:21    수정: 2025/11/28 15:25

기업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인 홈플러스가 새 주인 찾기에 실패하면서 식품사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 3월 기업회생 개시 직후 홈플러스에 제품을 납품해온 일부 제조사들이 납품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바 있어 이번에도 납품 대란 사태가 반복되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식품사들은 아직 기업회생 절차가 남은 만큼, 납품은 이어가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입점 점주 대금 지급 일부 지연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마감된 홈플러스 인수 본입찰 제안서 접수 마감 결과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던 하렉스인포텍과 스노마드를 포함해 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홈플러스 매장 내 사람들

이에 홈플러스는 회생계획안 제출인인 다음 달 29일까지 입찰제안서를 계속 받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회생계획안 제출일 전에 적합한 인수자가 나타날 경우 법원의 판단에 따라 매각절차 연장 및 회생계획서 제출 기한도 연장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홈플러스가 입점 점주에게 지급해야 하는 대금 정산까지 밀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홈플러스 최근 입점 점주에게 공문을 보내 다음 달 1일로 예정된 입점 점주 대상 대금 지급을 일부 늦추기로 했다. 대금 지급기한을 연장할 경우 지급일까지의 지연이자 상당액도 함께 지급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현금 흐름이 악화하면서 대금 정산 날짜를 맞추기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홈플러스의 대금 지급 지연은 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했던 지난 3월 이후 두 번째다. 당시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면서 거래 계좌가 막히면서 정산돼야 할 대금 지급이 지연된 바 있다.

이에 오뚜기, 롯데웰푸드, 삼양식품 등 식품업체와 삼성, LG전자 등 가전업체들이 납품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도 했다.

“주요 거래처라”…발 못 빼는 식품사들

식품업체들은 본입찰 불발에도 홈플러스 납품을 지속한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를 밟고 있지만, 사업을 지속하고 있고 새로운 인수 후보자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SNS에 올라온 홈플러스 매대 상황. 상품 종류가 줄어 특정 상품으로만 채워진 모습.(사진=스레드 캡처)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현재 홈플러스의 상황이 좋지 않다고 하더라도 대형 유통망을 가진 주요 거래처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바로 중단할 수는 없다”면서 “갑자기 새로운 인수자가 나타나서 상황이 바뀔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또 다른 식품업계 관계자 역시 “상황을 지켜보고는 있지만, 당장 납품을 중단할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기업회생 개시 이전 대비 납품량을 줄여서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최근 SNS에서는 홈플러스 매대에 상품 종류가 줄어들어 특정 상품으로만 채워졌다는 사진이 올라오기도 했다.

관련기사

실제 지난 26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주협의회 회장은 “상품이 있어야 할 공간이 빈 공간으로 방치돼 있고 폐점 명단에 오른 15개 점포는 고별전이라는 명칭으로 폐업 전에 하는 단발성 이벤트를 진행해 시민들에게 폐점 수순을 알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익명을 요구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이전처럼 신용이 있는 상태가 아니라 회생 개시 이전 수준으로 납품하는 것은 어느 업체도 하진 못할 것”이라며 “채권이 늘어나지 않는 선에서 조절하며 납품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