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홈플러스…"정부 나서달라" 호소

본입찰 참여 업체 無…"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 아니야"

유통입력 :2025/11/26 17:54    수정: 2025/11/26 17:54

새 주인을 찾아나선 홈플러스의 1차 시도가 무산됐다. 공개매각에 나섰으나 본입찰 마감일에 입찰제안서를 제출한 곳이 단 한 군데도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조와 입점업체들은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홈플러스는 26일 설명자료를 내고 “입찰제안서 접수 마감 결과,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던 하렉스인포텍과 스노마드를 포함해 입찰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말 공개매각 인수의향서(LOI) 접수 마감일에 인공지능(AI) 핀테크 기업인 하렉스인포텍과 부동산 임대·개발업체 스노마드가 참여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지난 10월 14일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했다.

이들은 지난 21일까지 예비실사를 진행한 뒤 이날 입찰 참여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양 사 모두 본입찰에 접수하지 않았다.

서울회생법원은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인 다음 달 29일까지 홈플러스와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 채권자협의회 및 이해관계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진행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자체 회생계획안 마련 여부 및 2차 M&A 재입찰 추진 등 방안을 논의해 회생 절차 방향을 정한다는 것이다.

인수의향서 냈지만…현금 부족한 하렉스인포텍·스노마드

시장에서도 양 사의 본입찰 접수 가능성을 낮게 점치고 있었다. 홈플러스의 청산가치는 3조7천억원으로 부채가 2조9천억원에 달한다. 홈플러스의 부동산을 담보로 2조원대 대출을 받더라도 최소 1조원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반면 하렉스인포텍과 스노마드의 재무 상황이 좋지 않았다. 하렉스인포텍의 지난해 매출은 3억원, 영업손실 33억원, 당기순손실 33억원이다. 지난 2021년 87억원이던 자본금은 지난해 –10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져있다.

스노마드 역시 지난해 매출 116억원, 영업이익 25억원, 순손실 7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1년 이내에 현금화될 가능성이 높은 자산을 뜻하는 유동자산은 140억원이며 이 중 판매과정 없이 당장 현금화할 수 있는 당좌자산은 2억8천만원에 그쳤다. 현금및현금성자산은 8천900여만원이다.

홈플러스 카트

정치권과 홈플러스 노조는 유력 인수 후보로 농협을 거론해왔다. 지난 10월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어기구 농해수위 위원장도 “홈플러스 청산 시 소상공인과 협력업체를 포함해 30만 명이 길바닥에 나앉게 된다”며 “농협이 공익적 관점에서 인수를 검토해 보라”고 말하면서다.

하지만 농협은 주요 유통사업인 농협유통과 농협하나로유통 모두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인수 여력이 없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

“당과 정부 적극적으로 나서야”

노조와 정치권은 정부가 홈플러스 사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닌 지역경제와 노동자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사태이라는 것이 그 이유다.

이날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MBK-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 단장은 본입찰 유찰 이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문제는 단순히 하나의 기업이 아니다”며 “10만명의 직간접 고용인력과 1천800개 납품업체, 8천개의 입점 업체가 있고 지역 경제에 기반을 두고 있는 지역경제 거점 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며 “MBK파트너스도 사재 출연을 포함한 적극적이고 통 큰 결단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가 지난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제공=마트산업노동조합)

기자회견에 참석한 정혜경 정의당 의원도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홈플러스는 청산말고는 선택지가 없다”며 “유암코(연합자산관리), 캠코 등 공적 구조조정 기구를 즉각 가동해 자금 안정화, 채권 조정, 구조조정 계획 등을 책임있게 마련해야 하며 노동자, 입점점주, 협력업체 등 사회적 이해당사자를 보호하는 대책을 정부가 직접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점주비상대책협의회장 역시 “홈플러스는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않고 상품이 있어야 할 공간은 빈공간으로 방치되며 폐점 리스트에 올랐던 15개 점포들은 고별전이란 명칭으로 시민들에게 폐점 수순을 알리고 있다”면서 “폭탄돌리기 식의 불안하고 기형적인 M&A가 아니라 건강하고 합리적인 M&A가 되길 바란다”며 정부 개입을 요청했다.

이어 “홈플러스 사태 9개월 동안 입점 점주들은 누적된 손익 감소로 버틸 여력이 없는 상황”이라며 “긴급 운영자금 등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