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창모 센터장 "한국형 ARPA-H, 실패 거듭해도 10배 성과낼 것"

[DHF2024] K-헬스미래추진단으로 이름 바꿔 10개 추가 과제 수행

헬스케어입력 :2024/10/11 12:00    수정: 2024/10/11 12:41

"실패를 거듭하더라도 높은 성과를 내는 것을 추구하겠다.”

성창모 한국형 ARPA-H 추진단 PM 센터장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디지털헬스케어포럼 2024(Digital Healthcare Forum 2024)에서 '돌파형 디지털헬스케어 RD&D를 위한 한국형 ARPA-H 전략과 수행'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성창모 센터장은 “ARPA-H의 실패율은 85%이지만 도전적인 과제를 찾아내 높은 성과를 이루고 있다”며 “이들은 실증과 상용화를 중요하게 여기며 막대한 규모의 비용을 투입해 실패를 거듭하며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창모 한국형 ARPA-H 추진단 PM 센터장이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디지털헬스케어포럼 2024'에서 발표하고 있다.

한국형 ARPA-H는 미국의 보건의료 R&D 혁신 기구인 ARPA-H 모델을 본떠 설립된 기구다. 미국 ARPA-H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2022년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에 설립한 바이오헬스 연구기관이다.

한국형 ARPA-H 역시 문답을 통해 도전적인 과제를 찾아내고 선발 과정을 거쳐 최고의 연구팀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패율을 80%로 설정했음에도 이를 통해 10배의 성과를 내는 것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성 센터장은 “미국을 벤치마킹한 한국형 ARPA-H는 K-헬스미래추진단으로 이름을 바꿔 새롭게 출발한다”며 “보건안보·미정복질환 극복·디지털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복지돌봄·지역의료 등 5대 임무를 중심으로 올해 12월 말까지 총 10개의 과제를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형 ARPA-H를 이루기 위해 국내 연구자의 역량이 어느정도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새로운 도전 과제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국은 디지털헬스케어에 많은 연구비를 투자하고 성과도 나오고 있지만 글로벌 상위 10위에 들어가는 연구자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충분한 연구 인력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최근 4~5년 사이에 급성장한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에서 충분히 리더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성장을 저해하는 장벽으로 ▲데이터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상호운용성 부족 ▲규제 및 규정 준수 과제 ▲기술에 대한 접근성 ▲변화에 대한 저항 ▲구현 비용 등을 꼽았다.

관련기사

성 센터장은 “특히 R&D 관점에서는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5060 세대는 디지털 시대로 이민을 온 이민자이며 젊은 세대는 디지털 원주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세대별로 격차를 줄여가며 디지털헬스케어 부문을 성장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거대한 비용을 연구비에 투입해 특허와 상용화 등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실패를 극복하고 답을 찾아가는 연구자세로 협업을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