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인재 곡선에서 배우는 채용 전략

[2026년 빅테크에서 찾아낸 HR 트렌드] "어떤 사람과 함께할 것인가"

전문가 칼럼입력 :2025/11/27 17:14

윤영돈 윤코치연구소 소장

‘2026년 빅테크에서 찾아낸 HR 트렌드’는 요즘 빅테크에서 일과 사람의 현상을 탐구하는 연재 코너입니다. '채용트렌드' 저자인 윤영돈 윤코치연구소 소장은 이번 칼럼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의 인재 경영에서 발견한 ‘새로운 채용 전략’의 방향을 전합니다.

최근 기업들은 자금 운용의 어려움과 투자 축소로 인해 채용 규모를 줄이거나 소극적 채용 기조로 전환하고 있다. 퇴직률은 높아지고 인력 감축과 재배치,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인적 구성의 변동성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환경에서 기업은 더 이상 ‘많이 뽑는 것’이 아니라 ‘정말 필요한 핵심인재를 신중히 선별하는 것’으로 핀셋 채용 전략을 전환하고 있다. 

윤영돈 윤코치연구소 소장

이런 흐름 속에서 ‘즉투가인(卽投可人)’, 즉시 투입 가능한 인재(Ready to Work Talent)라는 말이 생겨났다. 훈련보다 즉전력(卽戰力), 가능성보다 실전감(實戰感)이 우선되는 시대다. 사람들은 조직보다 자신의 역량을 중심으로 커리어를 설계하고, 협업보다는 개인의 성과에 집중한다. 이제 스킬 중심의 평가 구조가 사회 전반의 개인주의를 가속시키고 있다.

작은 조직, 빠른 학습

샘 알트먼 오픈AI CEO (사진=지디넷코리아 DB)

2022년 11월 챗GPT의 등장은 인공지능의 역사뿐 아니라 채용의 문법까지 바꿔놓았다. 그해 구글(알파넷)의 직원 수는 약 19만 명, 반면 오픈AI는 단 335명에 불과했다. 규모는 0.2% 수준이었지만, 세상의 시선은 구글이 아닌 오픈AI로 향했다. 이 숫자는 HR에게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조직의 크기가 경쟁력인가, 아니면 조직의 가벼움인가?”

챗GPT 이후 오픈AI는 폭발적으로 성장했지만, 그들의 전략은 ‘더 많이’가 아니라 ‘더 가볍게’였다. 의사결정 단계를 줄이고, 연구와 제품의 경계를 허물며, 실험과 피드백의 간격을 짧게 가져갔다. 반면 구글은 거대한 조직 구조 탓에 AI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내부 리스크와 브랜드 신뢰를 우려해 출시 시점도 늦어졌다. ‘규모의 경제’가 오히려 ‘무거움’이 된 것이다. 결국 오픈AI는 민첩했고, 구글은 느렸다. 혁신의 속도는 기술이 아니라 ‘사람이 얼마나 민첩하게 움직이느냐’에 달려 있었다.

인재 밀도, 가벼움 속의 깊이

GPT-3에서 GPT-4로 진화하는 데 2년이 걸렸다. 그 사이 오픈AI의 인력은 세 배 가까이 늘었다. 기술의 발전보다 사람의 적응 속도가 더 빨랐다. 서울 지사 채용을 보면 어카운트 디렉터, 고객 성공 매니저, 솔루션 아키텍트 등 비기술 직군의 비중이 높다. AI의 본질은 기술이 아니라, 기술을 제품과 경험, 윤리로 번역할 수 있는 사람에게 있다. 기술이 복잡해질수록, 사람은 단순하고 가벼워져야 한다. 변화를 짊어지는 대신, 변화를 흐름 속에서 흡수하는 태도. 그게 진짜 경쟁력이다.

‘인재 밀도(Talent Density)’는 조직 내 탁월한 인재의 비율을 뜻한다. 밀도가 높을수록 조직의 학습 속도는 빨라지고, 결정의 질은 높아진다. 넷플릭스는 이를 ‘키퍼 테스트(Keeper Test)’로 측정한다. “이 직원이 내일 퇴사하겠다고 하면, 나는 말릴 것인가?” 대답이 ‘아니오’라면 이미 변화가 필요하다는 신호다. 인재 밀도는 사람의 수가 아니라 ‘함께 성장하는 깊이’의 문제다. 조직은 인원을 늘리기보다 ‘팀시너지(Team Synergy)’를 높여야 한다.

채용의 속도보다 팀의 밀도

”채용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보다 밀도, 즉 조직 안에 있는 ‘인재의 농도’를 얼마나 높일 수 있는가이다.”(이미지=클립아트코리아)

HR의 역할도 바뀌고 있다. ‘규정과 절차를 지키는 관리자’가 아니라 ‘유연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디자이너’여야 한다. 현장의 흐름을 읽고, 불필요한 절차를 걷어내며, 조직이 가볍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많은 기업이 여전히 ‘얼마나 빨리 뽑을 것인가’를 고민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얼마나 협업을 할 것인가’다. 신입사원이 입사 후 6개월 안에 조직의 미션을 이해하고, 협업의 리듬을 맞추며, 스스로의 역할을 규정할 수 있다면 그 조직은 이미 경쟁력을 갖춘 것이다. 채용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보다 밀도, 즉 조직 안에 있는 ‘인재의 농도’를 얼마나 높일 수 있는가이다.

관련기사

우리 팀은 어떤 사람과 함께 할 것인가

과거엔 인재를 ‘신언서판(身言書判)’으로 봤다. 말과 글, 품격과 판단의 화이트칼라 시대였다. 이제는 ‘기용기량(技勇氣量)’이 필요하다. 기술과 용기, 기세와 그릇의 시대다. 지식보다 실행이 중요하다. ‘말 잘하는 사람’보다 ‘스킬 잘 쓰는 사람’이 가치 있다.

요즘 채용은 ‘컬처핏’에서 ‘팀핏’으로, ‘역량 중심 채용’에서 ‘스킬 중심 채용’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에서 ‘AI 리터러시’로 변하고 있다.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시대가 아니라, 인간이 AI와 함께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가는 시대다. 앞으로 조직이 던져야 할 질문은 명확하다. ‘어떤 기술을 도입할 것인가’가 아니라, ‘어떤 사람과 함께할 것인가’가 더 중요한 시기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윤영돈 윤코치연구소 소장

윤코치연구소 소장이자 ‘채용트렌드’ 시리즈 저자다. 한국생산성본부 전문강사, 한국강사협회 이사, 커리어코치협회 부회장 등으로 삼성, LG, SK, 현대 등 주요 대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채용?면접?HR 혁신 교육을 진행하며, 스킬 기반 채용과 팀핏 중심 인재전략을 연구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윤코치연구소와 세미나 강연을 통해 HR 실질적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