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7배 뛰어도 적자"…오픈AI, 비용 폭증에 수익성 '적신호'

HSBC 보고서 발표…"초대형 클라우드 계약이 주요 원인"

컴퓨팅입력 :2025/11/26 14:01

오픈AI가 매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그보다 빠른 속도로 비용이 불어나면서 장기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26일 HSBC 미국 소프트웨어·서비스팀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픈AI의 매출이 올해 125억 달러(약 18조3천387억원)에서 2030년 2천135억9천만 달러(약 313조3천578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동안 약 17배 성장하는 규모다.

HSBC는 오픈AI가 매출 증가에 비해 비용 구조가 훨씬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고 봤다. 올해 추정 손익 자료에서 오픈AI·마이크로소프트의 수익 공유 비용은 마이너스(-) 25억 달러, 매출원가 -72억5천만 달러, 연구개발비 -146억1천만 달러, 판매관리비 -58억5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올해 영업손실 예상치는 -177억2천만 달러(약 25조9천952억원)다.

오픈AI가 매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그보다 빠른 속도로 비용이 불어나면서 장기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사진=구글 제미나이)

보고서는 2030년에 오픈AI 손익 구조가 더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추정치에 따르면 2030년 오픈AI·마이크로소프트 수익 공유 비용이 -427억2천만 달러, 매출원가 -854억4천만 달러, 연구개발비 -1천448억1천만 달러, 판매관리비 -170억9천만 달러로 예측됐다. 전체 비용을 반영한 2030년 영업손실 예상치는 -764억6천만 달러(약 112조1천688억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오픈AI의 이런 비용 구조 원인을 최근 체결한 초대형 컴퓨팅 계약에서 찾았다. 앞서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와 2천500억 달러(약 366조7천50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 아마존과 380억 달러(약 55조7천460억원) 규모의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두 계약은 오픈AI의 컴퓨팅 용량을 4기가와트(GW) 늘려 총 36GW로 확대했다. 장기 누적 계약 가치는 최대 1조8천억 달러(약 2천640조6천억원)에 이르며, 향후 연간 데이터센터 임대비는 약 6천200억 달러(약 909조4천160억원) 규모에 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HSBC는 오픈AI가 해당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기반 확대가 핵심이라고 밝혔다. 분석팀은 오픈AI 사용자 수가 현재 약 8억 명에서 2030년 30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성인 인구의 약 44퍼센트에 해당하는 규모다.

관련기사

샘 알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사진=위키커먼스)

오픈AI 내부에서도 이와 유사한 전망이 나오는 분위기다. 디인포메이션은 26일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2030년 주간 챗GPT 이용자가 26억 명에 이를 것으로 단독 보도했다. 내부 관계자는 이중 최소 2억2천만 명이 유료 구독자로 전환될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는 전체 이용자의 약 8.5% 수준이다.

HEBC는 "오픈AI의 비용 구조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며 "초대형 인프라 의존도가 향후 수익성 논란의 중심에 설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