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AI 활성화 위해 국내 병원들 의료데이터 활용 머리 맞대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성과교류회‧혁신포럼, 26일 개최

헬스케어입력 :2025/11/26 13:57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한 국내 의료기관들의 노력이 소개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는 26일 서울 서초 가톨릭대 성의교정옴니버스파크 플렌티컨벤션에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성과교류회’와 ‘보건의료데이터 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이형훈 복지부 제2차관과 전국 43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7개 컨소시엄)·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의료데이터 활용 유공자 포상과 함께 그간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의 사업 성과와 향후 추진 방향이 공개됐다.

올해 복지부는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이 구축한 데이터를 의료 AI 기업의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의료데이터 이용권(바우처) 지원을 추경 사업으로 시작했다. 총 8개 기업이 선정됐으며, 기업이 원하는 데이터를 보유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9개소도 연결돼 협업을 시작했다.

정부는 의료데이터 바우처 사업에서 의료데이터 활용 사례를 창출하고, 이를 토대로 의료데이터가 수요자에게 흐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내년에는 바우처 지원과제가 확대되며,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을 통한 AI 모델 실증 사업도 신설될 예정이다.

또 성과교류회에서는 컨소시엄별 성과도 공유됐다. 각 컨소시엄은 외부 연구자와 공동으로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AI 플랫폼 인프라를 구축하거나 의료 AI 기업 대상으로 연구 승인부터 전처리․분석․실증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체계를 갖추는 등 의료 AX(AI Transformation)를 선도하기 위한 활동이 한창이다.

우선 ‘의료 AX 시대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전략’을 주제로 열린 혁신포럼에서는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활용 전략’을 주제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기조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필수의료 데이터 공동구축 사례’, ‘의료데이터 활용 현황 및 향후 과제’에 대한 발표도 이뤄져 눈길을 끌었다.

아울러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유공자(장관 표창 24점)와 제3차 K-CURE 암 공공라이브러리 경진대회 수상자(장관상 1점 등 총 9점)에 대한 시상식도 진행됐다.

이형훈 제2차관은 “의료 AX 시대를 맞아 의료데이터 중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는데, 의료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그간 의료데이터 중심 사업을 통해 참여병원의 연구데이터 기반이 갖춰졌다”라고 말했다.

이어 “개발 기술이 진료 현장에서 사용되며 그 데이터는 다시 연구로 가야 한다”라며 “정부는 추경을 편성해 의료데이터를 연구개발에 사용되도록 8개 스타트업에 데이터 바우처를 지원했고, 내년 40개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료 AX 시대의 핵심 자원인 의료데이터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책과 함께 신뢰․협력의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라며 “복지부는 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의료데이터 중심병원과 산업계․학계․연구계가 함께 의료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염민섭 보건의료정보원장도 “보건의료데이터는 질병예측, 신약, 의료기기개발, 맞춤의료 등 국가 보건의료 혁신을 이끄는 핵심 자원으로 자리 잡았다”라며 “의료데이터 연구중심병원 사업은 연구와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반을 마련해 왔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의료데이터의 산업계 활용 활성화 등에 부흥하기 위해 신규 AI 바우처 사업을 시행해 스타트업과의 공동 연구 기반을 넓혔다”라며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43개 참여병원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이 보건의료 데이터 체계의 핵심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임준석 연세세브란스병원 실장은 “결국 보건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만나야 한다”라며 “지난 데이터중심병원 사업에서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를 잡고, 데이터 표준화 등을 진행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