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파묘’와 ‘범죄도시4’로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던 극장가가 2025년 다시금 보릿고개를 맞았다. 연간 천만 영화가 실종되면서 주요 멀티플렉스 3사의 실적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업계는 연간 누적 관객 2억 명에 달했던 과거의 영광을 쫓기보다, 반토막난 시장 규모(1억명)를 새로운 기준으로 삼고 수익 구조 개편에 나서고 있다.
아울러 올해 4분기부터는 할리우드 대작들이 개봉될 예정이기에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텐트폴 가뭄' 직격탄…CGV 영업익 '반토막', 메가박스·롯데시네마 '적자'
국내 멀티플렉스 3사의 올해 1~3분기 누적 실적을 살펴본 결과, 전년에 비해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CJ CGV는 해외법인의 선전으로 3분기 누적 매출 1조6천08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7.4% 증가했으나, 같은 기간 국내 시장 부진으로 영업이익 283억원에 그치며 52.1% 급감했다.
경쟁사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메가박스는 3분기 누적 영업손실 169억원, 롯데컬처웍스(롯데시네마)는 22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폭이 확대되거나 적자로 전환됐다.
실적 악화의 주원인은 텐트폴(대작)의 부재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천만 관객을 기록한 영화가 없어서 극장가 실적이 저조했던 부분이 있다”며 “극장 관객도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사실상 반토막 수준”이라고 말했다.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KOBIS)에 따르면 현재까지 올해 국내 박스오피스 1위는 565만 관객을 기록한 일본 만화 영화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다. 뒤이어 국내 영화 ‘좀비딸(564만)’, 미국 작품 ‘F1 더 무비’(521만)가 각각 2위, 3위를 기록했다.
"2억 명 시대는 갔다"…'1억 명 뉴노멀' 받아들인 극장가
업계에서는 이번 위기를 일시적 현상이 아닌 ‘구조적 변화’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2019년까지 연간 2억 명에 달했던 관객 수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5천만 명까지 추락했다. 엔데믹 후 1억 명대로 회복되면서 2억 명까지 반등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올해 다시 역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관계자는 "지난 3년간 2억 명 시장 회복을 기대했지만, 이제는 1억 명 시장이 우리의 '뉴노멀'임을 인정해야 할 때"라며 "단순히 스타 감독이나 배우가 나온다고 흥행하던 시대는 끝났다는 것을 지난 몇 년간 뼈저리게 학습했다"고 설명했다.
"확실한 경험만 산다" 객단가 상승…합병으로 효율화 승부수
이 같은 상황에서 업계는 관객 수가 감소한 대신 ‘확실한 경험’에 지갑을 여는 트렌드가 뚜렷해졌다고 본다. CJ CGV의 3분기 평균 영화표 가격(ATP, 영화 티켓 매출÷영화 관객 수)은 9천890원, 메가박스는 1만813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 11.1% 상승했다. 관객들이 일반관 대신 아이맥스(IMAX)·돌비 시네마·4DX 등 특수관을 선택하는 비중이 늘어난 덕분이다.
이에 관계자는 "10~20대 관객들이 ‘체인소 맨’이나 ‘귀멸의 칼날’ 같은 팬덤 콘텐츠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고 있다"면서 "줄어든 모수(관객 수) 안에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극장가는 '몸집 줄이기'를 통한 비용 효율화에도 사활을 걸었다. 롯데컬처웍스와 메가박스는 지난 5월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현재 공정위 심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만약 합병이 성사된다면 중복 투자와 인력·마케팅 비용 점감을 통해 손익분기점(BEP)을 낮추는 구조 개편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아바타3’부터 ‘오디세이’까지…2026년, 대작 귀환으로 반등 노린다
극장가는 올해를 ‘더 이상 내려갈 곳 없는 바닥’으로 규정하고, 2026년을 반등의 원년으로 삼고 있다. 가장 큰 호재는 2023년 할리우드 파업 여파로 미뤄졌던 글로벌 대작들의 귀환이다.
반등의 신호탄은 당장 올 연말부터 쏘아 올려질 전망이다. 12월 17일 국내 개봉 예정인 ‘아바타: 불과 재’는 올겨울 극장가에 활력을 불어넣을 최대 기대작으로 꼽힌다.
내년에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신작 영화 ‘오디세이’를 비롯해 ▲스타워즈: 더 만달로리안 & 그로구 ▲토이 스토리 5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2 등 해외 작품들이 개봉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CJ CGV, 美 영화관 사업 15년 만에 철수…왜2025.09.25
- "극장 상영 종료 후 6개월 간 OTT 풀지마"...찬-반 논란↑2025.09.20
- 트럼프 "해외 제작 영화 관세 100%"...英 영화산업 ‘직격탄’ 우려↑2025.10.21
- 워너브라더스, 파라마운트·넷플릭스·컴캐스트에 입찰 조건 상향 요구2025.11.26
국내 작품 중에서는 ‘황해’와 ‘곡성’ 등을 연출한 나홍진 감독의 신작 ‘호프’가 개봉 준비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천만 영화 부재와 라인업 공백으로 가장 힘든 시기를 보냈지만, 내년은 콘텐츠 공급이 정상화되는 시기"라며 "단순히 신작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4DX·스크린X 등 기술 특별관을 통해 '극장에 와야 할 이유’를 증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