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 인수 본입찰이 26일 오후 3시 마감된다. 지난달 말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하렉스인포텍과, 부동산 개발업체 스노마드 외에 새로운 후보자가 나타날지 주목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인수 본입찰은 이날 오후 3시 마감된다. 현재까지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곳은 하렉스인포텍과 스노마드 등 총 두 곳이다. 이들 기업은 예비실사를 거쳐 이날 입찰 참여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입찰에 참여하려면 투자확약서와 세부 운영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들 기업 외에 예비실사를 참여한 기업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예비실사를 하지 않은 업체도 공개 입찰에는 참여할 수 있다.
홈플러스 매각 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입찰 참여 기업의 제출 서류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정한 뒤 서울회생법원에 의견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인수의향자가 등장하면서 홈플러스는 법원의 허가를 얻어 회생계획안 제출 기간을 다음 달 29일까지로 연장했다.
다만 하렉스인포텍과 스노마드의 자금 동원력과 경영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나오고 있다. 두 기업 모두 자금 여력이 없다는 것이 그 이유다.
하렉스인포텍은 지난해 매출 3억원, 영업손실 33억원을 기록했다. 자본 총계는 –10억원으로 자본잠식 상태다. 스노마드 역시 지난해 매출 116억원 영업이익 25억원, 순손실 73억원을 기록했다. 자본총계 222억원, 부채총계는 1천597억원이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는 이들 기업의 자금 동원력과 경영 능력이 부족하다며 정부 개입을 촉구하는 단식 농성을 지난 8일부터 벌이고 있다. 법원이 회생절차 폐지 결정을 내리면 홈플러스 직원과 협력업체 직원 등 10만명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을 것이란 우려다.
노조 측은 “홈플러스의 청산은 단지 하나의 기업이 문을 닫는 것이 아니라 대형 유통망 해체와 함께 국가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정부는 이 문제를 국가적 재난사태로 인식하고 사전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홈플러스 태스크포스(TF)는 지난 5일 서울회생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기업들이 홈플러스의 회생을 이끌 주체가 아니라 또 다른 MBK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 위기의 홈플러스..."큰불 껐지만 곳곳에 잔불"2025.11.05
- 홈플러스 인수의향서 접수 종료…AI 기업 하렉스인포텍 참여2025.10.31
- 홈플러스 ‘운명의 날’…농협 나서기 어려운 까닭은2025.10.31
- 홈플러스 "김병주 MBK 회장, 1조원 사재 출연 거부 사실 없어"2025.06.20
일각에서는 하나로마트를 운영하는 농협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12명을 대상으로 홈플러스 매각과 관련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인수에 가장 적합한 기업으로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을 선택한 응답이 38.8%로 가장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