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대구광역시·안양시·부천시·수원시(대도시), 서울 성동구·구로구·강남구·은평구·전남 여수시(중소도시) 등 9곳을 2025년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도시 인증은 국토부가 도시의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021년부터 매년 시행 중이다. 신청 지자체의 스마트도시 서비스 및 기반시설 수준, 공공의 역량과 혁신성, 거버넌스·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을 부여한다.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중에서는 대구광역시가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교통플랫폼·대구 데이터안심구역 구축 등 데이터 생태계 조성 측면에서, 경기 안양시가 인공지능 동선추적 시스템·자율주행 버스 등 혁신서비스 운영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경기 부천시는 모바일 통합플랫폼·온마음 AI 복지콜 등 시민편의와 복지서비스 측면에서, 경기 수원시는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스마트폰 사용제한 스쿨존 등 교통서비스 측면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중소도시 가운데 서울 성동구는 주민참여 정책제안 플랫폼·민관협력 도시운영 등 시민 참여 및 거버넌스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서울 구로구는 보행보조 재활로봇 도입·다중인파 안전관리 분석시스템 등 복지·안전 측면에서, 서울 강남구는 로봇플러스 테스트필드·미래교육센터 등 기술실증·체험환경 조성 측면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전남 여수시는 글로벌 스마트관광·스마트 원격검침시스템, 서울 은평구는 교통약자의 이동 지원 플랫폼·서비스 등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올해 처음으로 스마트도시 인증을 받게 됐다.
여수시와 은평구 외 7곳은 2023년에 받은 인증 유효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신규인증을 신청해 모두 인증 연장이 결정됐다.
관련기사
- 국토부, ‘2025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전주·안산·김천·김해·대구시 선정2025.06.19
- '홍수위험' 전국서 가장 높은 곳은...AI로 예측했더니2025.05.28
- 구로구, 환경미화원에 근력보조 로봇 지원2025.04.22
- 국토부, 스마트도시 기술·서비스 규제완화 나서2025.03.24
인증 대상으로 결정된 지자체에는 국내외에 우수한 스마트도시로 홍보될 수 있도록 국토부 장관 명의 인증서와 함께 동판이 수여된다.
윤종빈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인증제를 통해 국내 스마트도시 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우수사례를 발굴해 국내외로 확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한편, 체계적인 도시수준 진단을 통해 지역 간 기술격차 완화 등에도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