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가 인공지능(AI) 기술로 고객사의 인수·합병(M&A) 의사결정 체계를 고도화한다.
삼정KPMG는 기업 거래 기회 발굴부터 전략 검토까지 돕는 AI 플랫폼 '딜마인드'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딜마인드는 산업 전략, 성장 계획, 투자 의향 등 고객사의 M&A 정보를 통합 관리해 인수·매각 기회를 신속하게 도출하도록 설계된 플랫폼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와 오픈AI의 거대언어모델(LLM) 기술로 작동한다.
딜마인드 핵심은 고객 M&A 니즈를 실시간 데이터로 표준화해 축적하는 기능이다. 담당자별로 흩어져 있던 정보를 하나의 구조화된 형태로 모아, 특정 산업에서 매각 맨데이트가 발생할 경우 과거 니즈를 즉시 확인하고 대응하도록 돕는다.
회사 전체가 공유하는 데이터는 잠재 후보군을 더 정확하게 발굴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타깃 기업 정보를 산업, 규모, 조건별로 자동 분류해 '타깃 롱 리스트'를 실시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 기능을 통해 원하는 기업을 손쉽게 조회하고, 기업 외형, 사업 특성, 투자 포인트와 함께 딜마인드가 생성한 'AI 코멘트'도 확인할 수 있다. 흩어진 이메일과 파일 정보가 자동 정리돼 M&A 실무의 정보 접근성이 높아진 점도 특징이다.
플랫폼에는 자연어 질의응답 기반 AI 챗도 포함됐다. 이를 통해 문서 분석, 자료 비교, 시장 탐색 등 실무 전반을 지원한다. 파일 업로드, 웹 검색,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능을 결합해 더 정교한 분석을 수행하는 식이다. AI가 답변을 도출하는 과정도 시각화해 제시한다.
관련기사
- 메가존, 지멘스와 차세대 AI·로우코드 혁신 전략 공유2025.11.21
- 일레븐랩스 "韓, 아시아 음성 AI 허브…K-콘텐츠 글로벌화 지원"2025.11.21
- "AI 열풍 속 산업 현장은 왜 여전히 DX에 막히는가"2025.11.21
- 기후부-과기정통부 원팀으로 인공지능(AI) 대전환 박차2025.11.21
삼정KPMG는 딜마인드가 데이터 저장 도구를 넘어 기업 의사결정 체계를 정교화하는 전략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봤다. 산업·거래 규모·투자 성향에 맞춘 후보군을 AI가 자동 추천해 자문 속도를 높이고, 기업은 더 많은 대안을 빠르게 검토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이동 삼정KPMG ㅈ무자문부문 대표는 "딜마인드는 조직이 축적한 전문성과 최신 AI 기술을 결합해 M&A 시장의 정보 비대칭을 해소할 것"이라며 "데이터 중심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고객사가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