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무역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소비자 심리가 개선되고 있다. 유통 기업도 덕분에 낙관적인 연말 쇼핑 시즌을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낙관론에만 의지할 순 없다.
유통 산업은 데이터 산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고 관리부터 사기 탐지까지 모든 고객 상호작용은 데이터를 생성한다. 특히 블랙프라이데이, 크리스마스 세일 등 연말에 집중된 쇼핑 대목에는 데이터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리스크 또한 증가한다. 유통 기업이 사업 규모를 늘리고, 보안을 유지하며, 고객의 기대에 부흥하는 경험을 제공하려면 데이터 관리의 중심에 가시성과 통제력을 둬야 한다.
IBM의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전 세계 사이버 공격의 34%는 아태지역에서 이뤄진다. 이런 상황 가운데 클릭, 거래, 디지털 상호작용 하나하나를 기회로 보고 유통 산업을 선도하고자 하는 유통 기업은 IT 기업처럼 생각하고 운영해야 한다.
연말 대목의 가장 큰 과제는 확장성, 장애 허용성, 부족한 인력이다. 온오프라인 트래픽이 몇 배 급증하면서 생겨난 부하는 장애나 시스템 지연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압박은 거래 처리, 사기 탐지 시스템에서 더욱 심각하다. 탄력성을 유지하려면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확장성이 높아야 추가 부하를 처리하고 장바구니 이탈로 이어지는 다운타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리니지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단절을 식별해 최소한의 중단으로 시스템을 복구할 수 있게 한다.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 걸친 데이터 가시성은 사각지대를 없애고 민감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보호한다.
유통 기업은 공격자들이 팔 수 있는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주된 사이버 공격 타깃이 된다. PwC의 소비자 목소리 조사에 따르면 아태지역 소비자의 74%는 개인정보와 데이터 공유에 대해 우려했다. 50%는 SNS를 통한 구매에 거부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말의 혼잡함과 더불어 매장, 물류 센터, 온라인 플랫폼, 배송 트럭 등 IoT로 연결되면 될수록 공격 표면은 넓어진다. 보안에 취약한 기기를 통해 보안 공격이 발생한다면 기존 시스템과 낮은 마진으로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통 기업은 소비자 신뢰와 브랜드 가치라는 이중고를 마주하게 된다. 사이버 보안은 IT 요소가 아니라 비즈니스 요소다.
유통 산업에서는 신뢰가 핵심 차별화 요소다. 유통 기업은 자사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해 고객 충성도를 높인다. 설계부터 보안을 고려한 시스템은 노출을 제한하고, 통합 거버넌스는 하이브리드 환경 전반에서 데이터 보안과 규정 준수를 일관되게 적용한다.
관련기사
- 기업이 원하는 AI, 클라우데라 생태계에 다 있다…서비스나우도 합류2025.10.03
- 전 세계 기업 10곳 중 9곳 "핵심 업무에 AI 통합"…고민은?2025.09.26
- 글로벌 IT 리더 10명 중 9명 "1년 내 AI 에이전트 활용할 것"…금융·제조서 '활발'2025.04.21
- 클라우데라 '파트너 데이'에 韓 기업 40곳 모인 이유는?2025.04.16
AI과 ML은 이제 수요 예측, 개인화, 사기 탐지의 필수 요소다. 유통 산업에서는 과거, 실시간 데이터 모두 중요하다. 과거 데이터는 수요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고객 행동 분석에 활용된다. 실시간 데이터는 동적 의사결정을 구현하기 위한 속도와 타이밍을 좌우한다. 매장에 들어서는 고객에게 맞춤 제안을 제공하거나 거래 이상을 탐지하는 것이 그 예시다.
유통 산업에서는 타이밍이 생명이다. 15분 늦은 제안은 의미가 없고, 뒤늦은 사기 탐지는 손실로 이어진다. 실시간 가시성을 보유한 유통 기업은 즉각적으로 행동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시스템을 확장하며 고객 신뢰를 구축하는 능력이 경쟁의 승패를 좌우한다. 가시성과 거버넌스를 보유한 유통 기업이 결국 정상에 서게 될 것이다.










